[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

 1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1
 2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2
 3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3
 4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4
 5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5
 6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6
 7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7
 8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8
 9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9
 10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10
 11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11
 12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12
 13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13
 14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14
 15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15
 16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16
 17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17
 18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18
 19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19
 20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에 대한 현황과 대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Ⅱ. 가정폭력

1. 가정폭력의 일반적 개념 & 법적 개념

2. 가정폭력의 발생원인

3. 가정폭력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

4. 가정폭력의 현황

Ⅲ. 아내폭력

1. 아내학대에 대한 이론적 접근

2. 아내학대 피해자 관한 법률

3. 가정폭력 관련 기관의 서비스

4. 아내학대 가족에 대한 대책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남성의 아내에 대한 폭력 발생률을 전국 인구로 환산하면, 추정 피해자수는 약 368만 명이다. 이 중 정서적 폭력이 26.4%로 가장 높아 전국적으로 293만 명 정도로 추정이 된다. 신체적 폭력 중 경한 폭력은 7.7%로 약 85만 명이고, 중한 폭력은 4.5%로 50만 명, 경한 폭력과 중한 폭력 중 하나 이상 경험한 사람은 9.4%로 약 100만 명으로 추산된다. 「성인지적 예산분석사례(2) 가정폭력의 사회적 비용추정 (연구보고서-5-5)」, 문유경,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p.72.


가정폭력의 심각성은 가정폭력이 피해여성과 그 자녀를 포함한 가족전체, 더 나아가서는 사회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더욱 문제가 된다. 우선 가정폭력은 피해여성의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인 모든 부분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여성개발원의 연구에 따르면 남편의 폭력을 경험한 여성 65.4%가 심한 두통을 호소하고 있고, 48.1%가 타박상을 입고 17.3%가 골절상을 입었으며, 실명이나 신경마비 등 매우 심각한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응답자의 반 이상이 자존심과 자신감을 잃고 무기력해지며 자신도 죽고 싶고 남편도 죽었으면 하는 정신적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3. p. 39.


3) 아내학대 피해자의 문제
아내가 학대관계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이유는 공포감이다.
다음으로는 보복에 대한 두려움 때문인데 아내가 도망치면 남편은 어떻게 해서든지 추적하여 접근해 오고, 완전히 자취를 감출 수 없다면 집을 나간 여성은 몰래 추적해 오는 남편에게서 결코 벗어날 수 없다. 세 번째 이유는 ‘그것도 결혼생활의 일부분이기 때문’이고 ‘아이 때문’ 등이다. 네 번째는 전통적인 결혼관에서 비롯되는 이유로서, 모성애 내지 자기희생적 관점에서 자기 남편의 폭력이 강화되는 것을 단지 병이 더욱 악화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남편이 자신을 더욱 필요로 한다고 쉽게 결론을 내리기 때문에 떠나지 못한다. 다섯 번째로 여성들은 대부분 자신이 ‘어쨌든’ 가부장적인 사회문화가 규정하는 아내의 원형에 부합하지 못하다고 생각되면 죄책감을 느끼고, 자기가 당연히 맞을 짓을 했다고 믿게 되기 때문이다.
즉, 지속적인 학대로 인해 학습된 무기력과 무력감 그리고 폭력적 관계를 떠나려고 결심했을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적 지지체계와 서비스의 절대적인 부족이 학대받는 아내들을 폭력관계에 그대로 주저 앉히는 역할을 한다.
학대받는 아내는 이 단계에서 사회적 지지체계에서 소외감과 함께 자신의 고통에 대해서조차 수치심을 느끼게 되고, 사고력과 에너지를 모두 소모시킬 정도의 공포를 경험하며, 낮은 자아존중감과 상황에 대한 양가감정을 가지게 되고, 학습된 무기력에 시달릴 뿐만 아니라 원조자를 포함하여 모든 타인에 대해 의심하게 되며, 자기를 비난하고 현실을 왜곡하게 된다.
이들에게는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치료적 개입이 필요한데 효과적인 서비스 개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학대받는 여성 스스로가 자신을 ‘학대의 진정한 희생자’로 봐야 한다. 「가족복지론」, 조흥식 외 공저, 학지사, 2010. p. 275-276.


4) 아내학대가 피해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의 전화조사에 의하면 학대받는 여성의 32%는 폭력 후 죽고 싶을 정도의 굴욕감을 느끼고 남편을 두려워한다고 나타났다. 이런 증세는 `매 맞는 여성증후군`이라 일컬어지는데
참고문헌
▣ 참고문헌
「가정폭력 : 여성인권의 관점에서」, 김은경 외 지음 ;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기획, 한울아카데미, 2009.
「가정폭력 전문상담」, 한국가족복지학회 저, 시그마프레스. 2004.
「가족문제와 가족복지」, 이소희 외 3명 공저, 大旺社, 2004.
「가족복지론」, 권진숙 외 4명 공저, 공동체, 2006.
「가족복지론」, 박옥임 외 5명 공저, 청목출판사, 2008.
「가족복지론」, 조흥식 외 4명 공저, 학지사, 4, 2010.
「가족정책론」, 유계숙 외 공저, 시그마프레스, 2007.
「가정폭력과 가족의 인권」, 정춘숙 외 공저 ,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1999.
「가정폭력에 대한 이해와 대책」, 김종호, 청소년기 약물 오. 남용 실태와 대책 토론회에서 발췌, 2000.10.
「가정폭력의 법적 구조와 정책지향에 대한 검토」,한인섭 외 공저, 서울대학교 법학, 1998.
「가정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3.
「가정폭력의 유형별 관련성과 아동의 전신건강에 관한 연구」, 김연옥, 박인아, 한국가족복지학, 5, 2000. p. 103-207.
「가정폭력의 태도와 행동 간의 상관관계 연구」, 김재엽,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 1995.
「배우자학대 부부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권진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보건복지포럼 : 가정폭력의 현황과 대책」, 김승권 외 공저, 학술저널, 1998.
「성인지적 예산분석사례(2) 가정폭력의 사회적 비용추정 (연구보고서-5-5)」, 문유경,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아내학대에 대한 페미니스트 접근에 관한 사회사업적 분석」, 신은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지역사회자원연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영란, 보건복지가족부, 가정폭력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대토론회 자료집, 2000.
「학대받는 아내의 능력고취를 위한 집단사회사업실천의 효과성」, 신명화, 서울대학교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 논문, 1999.
「한국의 가정폭력 정책과 서비스전달체계」, 박경숙, 보건복지가족부, 통합적 가정폭력 대응 전달체계 수립을 위한 국제회의 자료집, 2000.
「2007년도 전국가정폭력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08.
「2008년도 여성정책연차보고서」, 여성가족부, 2009.

Breslau, N., & Davis, G. C. (1987).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stiologic
specifisity of wartime stresso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4, 578-583.
Dobash, R. E., & Dobash, R. P. (1979). Violence against wives : A case gainst Patriarchy. New York : Free Press.
Ferraro, K, J., & Johnson, J, M. (1893). How women experience battering : The process of victimization. Social Problems, 30(3), 325-339.
Giles-Sims, J. (1983). Wife-beating : A systems theory approach. New York : Guilford.
Hofeller, K. (1893). Battered women, shattered lives. Palo Alto, CA : R&E Research Associates.
Pagelow, M. D.(1984). Family Violence. New York: Praeger.
Pence, E., & Paymar, M. (1993). Education groups for men sho batter : The Duluth model. New York : Springer.
Straus, Murray A.(1979). “easuring intra family conflict and violence: The Conflict Tactics Sca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Straus, Murray A., Gelles, R. J., & Steinmetz, S, K. (1980). Behind closed doors : Violence in the American family, New York : Doubleday.
Sylvia Walby, “ew Methodologies in Researching Violence against Women”.
Walker, L, E. (1984). The Battered women syndrome. New York : Springer.

▣ 참고 사이트
가정폭력상담소 희망의 전화 : http://www.woman21.org/
국가통계포털 : http://www.kosis.kr/domestic/theme/do01_index.jsp
데이터뉴스 2008.10.24, 이수아 기자[leesooah@datanews.co.kr]
법률지식정보시스템 : http://likms.assembly.go.kr/law/jsp/main.jsp
법제처 : http://www.moleg.go.kr/
보건복지부 : http://www.mw.go.kr/
여성가족부 : http://www.mogef.go.kr/
여성상담전화 1366 : http://www.1366.or.kr/
사이버 경찰청 : http://www.police.go.kr/main/index_info.do
학교 여성폭력 긴급지원센터: http://www.117.go.kr/index.do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http://www.kwdi.re.kr/
블로그: http://cafe.naver.com/dawooedu.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31
http://oongsoo.egloos.com/961293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