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

 1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1
 2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2
 3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3
 4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4
 5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5
 6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6
 7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7
 8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8
 9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9
 10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10
 11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11
 12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12
 13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13
 14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14
 15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15
 16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16
 17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17
 18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18
 19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호학] 영화 `나쁜남자`의 기호학적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면서...
II. 비영화적 약호를 중심으로...

1.시퀀스로 본 '나쁜남자'의 구조
2. 이항 대립을 이용한 구조 분석 - 존 피스크
3. 영화에 나타난 여러 기호들
III. 영화적 약호를 중심으로..
1. 분석에 앞서..
1) 영화라는 매체
2) 영상의 성격
3) 영화 서술에 대하여
2. 한기의 방에 대한 공간의 기호학적 분석
3. 사진과 관련되어 어그러지는 나쁜 남자의 시간성에 대하여...
IV. 논의를 마치며...

본문내용
I. 들어가면서...

왜 고양이과 개는 만나면 싸울까? 동물학자들에 의하면 고양이와 개싸움의 이유는 두 동물이 지니고 있는 코드 체계의 상이함에 있다고 한다. 이를테면 개는 반가울 때 꼬리를 들고 흔들지만 고양이는 그것이 적대적 관계의 신호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코드체계의 차이에서 고양이와 개는 영원한 적수관계를 유지한다고 한다. 이렇듯 같은 표현 양식으로 발화되었다 하더라도 기호 수신자의 코드 체계가 다를 경우 해석작업은 달라질 것이며 이것에 따른 출력치도 다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는 영화 해독 작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영화 특유의 특징은 어떤 상상적 세계든 재현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상상적, 즉 부재적 성질에 있는 것이다. 영화적 기표는 그 자체로 상상적이다. 영화는 상상적 기표이며 채우려하지만 결코 그럴 수 없는 부재에 의존하는 의미작용의 과정이다. 영화의 기표가 상상적이기 때문에 수용자는 해석의 틀을 무한정 넓혀 놓을 수밖에 없다. 해석 작업에 있어서 수용자의 코드 체계는 더욱 중요한 지위로 부각되며, 여기서 수용자의 코드 체계가 형성되는 장으로서의 사회적 의미 체계는 영화의 기호학적 분석에 있어서 반드시 전제되어야만 하는 부분이다. 에코 역시 현실자체가 영화 속에 제공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우리는 문화적 약호에 종속되어 있고 그래서 문화적 약호를 통해서 기의로 해석되는 기표를 접하게 된다고 말한다. 기호는 컨텍스트에 민감하다. 어떤 것을 한 기호의 요소로 여길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로 컨텍스트인 것이다. 이런 면에서 영화의 기호학적 분석은 마땅히 컨텍스트의 존재와 영향력을 인정하고 그 맥락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겠다.
참고문헌
유리로트만, 「영화 기호학」 , 박현섭 역, 민음사, 1994
더들리 앤드류, 「영화이론의 개념들」, 김시무 외 역, 시각과 언어, 1995
존 피스크,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강태완·김선남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로버트 랩슬리·마이클 웨스틀레이크, 「현대 영화이론의 이해」, 이영재 ·김소연 공역, 시 각과 언어, 1995
이형식, 「영화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1
존 오르, 「영화와 모더니티」, 김경욱 역, 민음사, 1999
이일범, 「영상예술의 이해」, 신아사, 1999
서인숙, 「영화분석과 기호학 :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중심으로」, 집문당, 1998
Gaudreault, Andre Fran ois Jost, 「영화서술학(Recit cinematographiqu)」, 송지연 역, 동문선, 2001
Christian Mets, The Imaginary Signifier : Psychoanalysis and the Cinema, (Trans) Celia Britton, Bloomington Indiana univ,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