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1910년대 문학사

 1  [현대문학사] 1910년대 문학사-1
 2  [현대문학사] 1910년대 문학사-2
 3  [현대문학사] 1910년대 문학사-3
 4  [현대문학사] 1910년대 문학사-4
 5  [현대문학사] 1910년대 문학사-5
 6  [현대문학사] 1910년대 문학사-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1910년대 문학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들어가기 전에
1910년대의 시대 설명 및 관점 소개

Ⅱ. 본론
1. 작품을 통한 이해 ; 개화 초 두 편의 기록문학, ‘매천야록’과 ‘갑신일록’
2. 문체를 통한 이해 ; 국문체+국한문체의 이중 구조 확립
3. 장르를 통한 이해 ; 개화기 가사, 소설, 연극 등의 문학 장르
4. 인물을 통한 이해 ; 최남선, 이광수, 주요한

Ⅲ. 끝맺으며
본문내용
1. 황현의 『매천야록』
황현의 매천야록은 유교적 세계관에 입각한 조선 지식인의 전형적 보고 문학으로, 1864년의 대원군 집정에서부터 1910년의 한일합방에 이르는 47년간의 역사적 사실을 기술하고 있다. 황현은 매천야록에서 단발령 단발령은 조선 사회에서 그들의 존립을 가능케 한 주자주의 이념의 상실로 이해되었다. 따라서 작품 속에서 침통한 묘사로 그려졌을 것이라 추측된다.
에 대한 침통한 묘사로 그의 유교적 세계관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황현의 유교적 세계관이 맹목적인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그가 개화에 대해 내세우는 원칙은 무조건 배척이 아니라, 유교적 이념을 굳건하게 한 후에 지엽적인 문제들을 고쳐 나가는 방식이다. 따라서 매천야록은 새 시대의 도래를 비관적으로 생각한 지식인의 저술로서 보수적이기도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개화기의 한 측면을 여실하게 보여준다고도 볼 수 있다.

2. 김옥균의 『갑신일록』
갑신일록은 1884년 갑신정변 1884년 김옥균·박영효·홍영식 등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정변이다. 1882년의 제물포조약에 따라 일본으로 건너갔던 김옥균 등의 일행은 귀국하여 일본의 힘을 빌려 개화와 정치개혁을 단행하고자 하였다. 김옥균 등은 주(駐)조선 일본 공사 다케조에 이치로와 밀의한 끝에 일본군 주둔 병력을 빌려 정변을 일으키고 혁신정부를 세우기로 기도하고 정변을 일으켰다. 이들 개화파들은 각국의 공사·영사들에게 신정부의 수립을 통고하는 한편, 새정부를 구성하고 혁신정강으로 문벌폐지와 인민평등권 확립, 관제의 개혁, 지조법(地租法) 의 개혁과 재정의 일원화 등 14개 항목을 내세웠다. 그러나 미처 공포도 하기 전에 위안스카이(袁世凱)의 청국군이 출동, 창덕궁을 공격하여 집권은 삼일천하로 끝나고 김옥균 등은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의 전말에 대해 그 주동자인 김옥균이 망명지에서 서술한 보고문으로, 국가 개혁에 대해 염원하는 김옥균 자신과 일본의 이익을 위해 그 정변에 협력한 일본 공사 다케조에 이치로와의 심리적 갈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김옥균의 자본에 대한 생각 김옥균은 국가의 근본이 재정이라는 것을 뚜렷하게 깨닫고 있었으며 3일 동안의 정변 기간 중에도 재정 관계의 정비를 무엇보다도 서두른 바 있다.
이 짙게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 책의 바탕이 된 갑신정변은 조선 사회가 가지고 있는 여러 모순을 그 사회 자체 내의 힘으로 개혁해 보려 한 시도로서,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등의 젊은 관인 엘리트들은 구제도의 전반적인 개혁을 목표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개혁은 청의 개입으로 3일 만에 끝나고 마는데, 이러한 실패의 원인은 민중의 지지가 전혀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