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

 1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1
 2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2
 3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3
 4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4
 5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5
 6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6
 7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7
 8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8
 9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9
 10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10
 11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11
 12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12
 13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13
 14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14
 15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15
 16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16
 17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17
 18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18
 19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호] 심근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응급처치, 외,내과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과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생리적, 병리적 원인)
1) 죽상으로 관상동맥 혈관이 막히면서 심근괴사로 발전

3. 증상 및 징후, 양상 & 병태생리증상, 징후

2) 양상
4. 심근 경색 환자의 임상적 분류
5. 심근경색과 협심증의 차이
6. 응급처치 및 관리

1) 응급 처치

2) 심근경색 이후 환자 관리

7. 간호사정
2. 진단검사 & Lab


 심전도(Electrocardiography)
 자기공명영상 MRI



1. Troponin I&T

2. CK(creatine phosphokinase)

3. Myoglobin
4. LD(lactate dehydrogenase)
3. 치료 및 간호


☞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

1. 정의

2. 시술방법

3. 합병증

4. 시술 후 간호

5. 관상동맥내 스텐트 삽입하는 경우

☞ 관상동맥 우회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1. 정의

2. 수술
(1)수술 전 약물투여

(2)수술방법

(3)합병증

수술 전 간호
수술 후 간호
1. 사정
2. 간호
3. 수술 후 합병증과 간호
4. 환자 교육
4.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Troponin I&T
 cardiac-specific troponin-I(cTnI), -T(cTnT)
 CK-MB보다 특별성 높아 MI 진단에 선호된다
 cTnI는 7-10일, cTnT는 10-14일 지속된다. (신부전 시 cTnT 상승--> 신기능 장애일 경우 cTnI가 더 specific)
 CK-MB나 myoglobin이 AMI 발병 후 극히 짧은 시간에 소실되는 반면 troponin은 오래 지속되므로 병원에 늦게 도착하여 흉통이 소실되었거나 CK-MB가 정상인 환자의 진단에 유용
 특히 ST elevation이 없고 CK-MB도 정상인 small MI의 진단이나, 근골격계 injury가 의심되는 경우 진단에 매우 유용하다.
 troponin이 이미 상승되어 있는 recurrent MI/angina의 진단에는 반감기가 짧은 CK-MB나 myoglobin이 더 유용하다

2. CK(creatine phosphokinase)
 nonspecific : skeletal muscle injury 때도상승

상승시작
최고농도
정상화
sensitivity
specifity
Myoglobin
1-2시간
6-7시간
1일
매우높다
높지 않다
cTnI,cTnT
2-6시간
10-24시간
5-14일
매우높다
매우높다
CK-MB
3-6시간
12-24시간
2-3일
높다
높다
AST/ALT
12시간
1.5-3일
5일
낮다
낮다
LDH
24시간
3-4일
7-14일
낮다
낮다
 MI외에 CK가 상승할 수 있는 경우 : IM injection, skeletal muscle damage, cardiac catheterization, surgery, stroke..
(심장수술, myocarditis시에는 CK-MB isoenzyme 상승도 흔하다)
*CK-MB isoenzyme : cardiac specificity가 높다.
 AMI : CK-MB가 최고 농도에 도달한 뒤 감소
 근골격계 질환 : CK-MB곡선이 안정을 보임
 CK-MB/CK >2.5-->AMI 진단에 도움
 CK-MB2/CK-MB1 >1.5--> AMI의 조기진단에 매우정확(but, troponin을 더 선호)


3. Myoglobin
 가장 빨리 상승되고, 소변으로 배설되어 가장 빨리 정상화됨
 조기진단에 도움되지만, cardiac specificity 부족이 단점

4. LD(lactate dehydrogenase)
 LD1:cardiac-specific, MI시 total LD보다 먼저 상승,total LD보다 더 sensitive(95%이상의 sensitivity)
 LD isoenzyme의 flipped pattern : LD1>LD2 (정상에선 LDAMI, acute renal infarction, hemolytic anemia 등에서 나타남
*unstable angina : CK-MB 상승하지 않지만, troponin은 1/3에서 상승
* AST/ALT - 상승시간이 CK와 LD의 중간이라 별 이득이 없고 비특이
*기타 비특이적 염증반응

1)PMN leukocyte (12000~15000/uL): 몇시간 이내 나타남
2) 급성 염증표지자(CRP,ESR) : 증가
참고문헌
Ⅳ. 참고문헌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rhs10144/70028347759
다섯 번째 판, 성인간호학 下, Ⅲ. 수문사, 서문자 외
제5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전시자 외
중앙건강백과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최영희외
http://health.allrefer.com/health/heart-attack-post-myocardial-infarction-ecg-wave-tracings.html
www.google.co.kr EKG이미지
http://blog.daum.net/dasiruyo20/58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