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

 1  [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1
 2  [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2
 3  [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3
 4  [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4
 5  [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5
 6  [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6
 7  [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7
 8  [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8
 9  [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9
 10  [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10
 11  [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11
 12  [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12
 13  [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PR개론] 신한 은행 사태 PR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신한 은행 사태 정리


2. 정치, 경제, 사회적 배경 분석

1) 정치적 배경

2) 경제적 배경

3) 사회적 배경


3. 주요 공중분석
- 신한 은행 고객, 일반 시민, 시민 단체,
주주, 이사회, 사원


4. 잘한 점과 못한 점


5. 고객이 미래에 해야 할 일
- PR도 신한 WAY대로 해야 한다


6. 교훈
본문내용
2) 신한 은행 사태 사회적 배경

매년 일어나는 공직자들과 최고 경영자들의 도덕적 해이 문제 때문에, 시민들의 불만이 날로 높아져 가고 있는 상황이었다. 또, 대부분의 대기업 총수들의 장기 권력 집권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일어나고 있는 상태였고, 이어 후계자 세습 문제도 여전히 원만하게 해결되고 있지 않은 상태였다.

(1) 2010년 한해 공직자들의 도덕적 해이에 따른 구설수
2월 국회의원 평생 연금법 통과 사건이나, 7월 성남시청의 호화청사 그리고 9월 유명환 장관 딸 특채까지 2010년 한해 동안 도덕적 해이에 따른 각종 사건이 일어나 파문을 일으켰다. 잇따른 각종 사건 사고로 인하여 윤리의식,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한 취업포탈에서 성인 천 백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4.3%가 대한민국의 사회 지도층을 비롯한 공인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대답했고, 실망스러운 이유로 도덕적 해이를 첫 번째로 꼽았다.

도덕적 해이에 관한 기사 1

성인 84%, "공인 신뢰하지 않아".. 도덕적 해이 실망 민중의 소리 사회 2010.08.26 (목) 오후 8:42
성인남녀 5명 중 4명은 공인들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성인 1100명을 대상으로 “대한민국의 사회 지도층을 비롯한 공인을 신뢰하는 편입니까?”라고 물은 결과, 84.3%가 ‘신뢰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공인을 신뢰하지 않는 이유로는 ‘가식적으로 보여서’(39.7%, 복수응답)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사회적 파문을 일으킨 사례가 많아서’(38.9%), ‘본받을 만한 점이 없어서’(36.5%), ‘공인으로서 특별히 다른 점을 못 느껴서’(25.9%), ‘그들과 빈부차이를 느껴서’(17.4%), ‘외국의 존경할만한 공인들과 비교되어서’(16.9%), ‘공인의 위상이 이전과 달리 낮아져서’(14%), ‘나와 관계없는 사람이라 판단 어려워서’(12.6%), ‘지식과 교양이 부족해 보여서’(11.7%) 등의 순이었다. 반면, 공인을 신뢰하는 이유로는 ‘그 자리에 가기까지 노력이 대단해서’(55.5%, 복수응답)를 1위로 꼽았다. 뒤이어 ‘존경할 만한 공인이 많아서’(24.3%), ‘지식과 교양이 풍부해서’(19.7%), ‘매체를 통해 많이 접하면서 친숙해져서’(14.5%), ‘대중의 생각을 대변하는 역할을 해서’(13.9%), ‘사회적 정의에 앞장서고 있어서’(13.3%), ‘내가 할 수 없는 일을 대신 해줘서’(8.7%), ‘평소 인성이 바른 이미지로 비춰져서’(6.9%) 등의 순이었다.
국민들이 공인에게 가장 실망스러운 부분으로 ‘도덕적 해이(모럴 해저드)’(17.7%)를 첫 번째로 지적했다. 이어 ‘개인적 사리사욕만 추구’(16.8%), ‘탈세, 병역비리 등 국민적 의무 불이행’(16.3%), ‘부정한 방법으로 부를 축적’(14.8%), ‘책임감 부족’(11%), ‘지위 및 재량권 남용’(9.9%), ‘집단 이기주의’(6%), ‘사회 환원 의식 부족’(5.2%) 등의 의견이 있었다. 또 공인들이 꼭 갖추어야 하는 덕목으로 ‘도덕성, 청렴도’(43.2%)를 1위로 선택했다.
파이낸셜뉴스 경제 2009.12.29


(2) 대기업의 후계자 문제
삼성전자 이재용 전무가 2009년 부사장으로 승진한지 1년도 되지 않아 사장으로 초고속 승진하면서 본격적으로 삼성의 세습 후계구도가 공식화되었다. 하지만 시장에서의 반응은 싸늘하다. 경영권을 인수한 방법이 문제되었기 때문이다. 헐값으로 대량 주식을 주주에게 넘겨 경영권을 인수했으며, 그 과정에서 16억 원의 증여세만 지불했다. 비록 법적으론 무죄를 선고 받았지만, 사회적 책임을 저버려 많은 질타를 받았다

(3) 사회의식의 성숙에 따른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부각
사회적 의식의 성숙해짐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CSR 활동 우수 기업을 선정해 투자하는 사회책임투자(SRI)의 급성장이 있다. 미국의 SRI 펀드 규모는 2005년 말 2조 2900억 달러로 10년 사이 3.6배 확대, 유럽의 SRI 시장 규모는 2005년 1조 330억 유로로 2년 사이 약 3배 확대되었다.

사회적 기업에 대한 자료(http://blog.naver.com/tristan-soul)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