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

 1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1
 2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2
 3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3
 4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4
 5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5
 6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6
 7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7
 8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8
 9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9
 10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10
 11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11
 12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소재공학] 미세 다공성의 겔 타입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고분자전지의 제작과 평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Experimental
Results – cathodic stability
Results - SEM
Results – cycling performance
Results – discharge curves
References
본문내용
용량이 빠르게 감소 :
양극(chathode)에서 화학적 용해

2Mn³⁺(solid)

→ Mn⁴⁺(solid) + Mn²⁺(solution)
비가역적 상전이 현상

미세다공성 막에

액체 전해질이 도입된 직후


80 ℃에서 30분 가열

→ 겔화(MGE)

MGE의 용량 보유량이
액체전해질보다 좋다


참고문헌
[1] Slane S, Salomon M (1995) J Power Sources 55:7
[2] Denton I, Frank R (1999) US Patent 5,962,168
[3] Gozdz AS, Schmutz C, Tarascon JM, Warren P (1995) US,
Patent 5,418,091
[4] Zhang SS, Xu K, Foster DL, Ervin MH, Jow TR (2004)
Electrochem Acta 48:241
[5]A. Du Pasquier, F. Disma, T. Bowmer, A.S. Gozdz, G. Amatucci,
J.M. Tarascon, J. Electrochem. Soc. 145 (1988) 472
[6] H. Maleki, G. Deng, A. Anani, J. Howard,
J. Electrochem. Soc. 146 (1999) 3224. J Power Sources 125:114
[7] H. Akashi, K.I. Tanaka, K. Sekai, J. Electrochem. Soc. 145 (1998) 881
[8] S.S. Zhang, T.R. Jow, J. Power Sources 109 (2002) 422
[9] Christie AM, Christie L, Vincent CA (1998) J Power Sources 74:77
[10] Jang DH, Shin YJ, Oh SM (1996) J Electrochem Soc 143:2204
[11] Xia Y, Zhou Y, Yoshio M (1997) J Electrochem Soc 144:2593
[12] Yamada A, Tanaka M (1995) Mater Res Bull 30:715
[13] Zhang SS, Xu K, Foster DL, Ervin MH, Jow TR (2004)
J Power Sources 125: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