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

 1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1
 2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2
 3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3
 4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4
 5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5
 6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6
 7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7
 8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8
 9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9
 10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10
 11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11
 12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12
 13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13
 14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윤리학][칸트][프리스][이이][셸러][흄]윤리학의 성격, 칸트의 윤리학, 프리스의 윤리학, 율곡 이이 윤리학, 막스 셸러 윤리학, 흄 윤리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윤리학의 성격

Ⅱ. 칸트의 윤리학

Ⅲ. 프리스의 윤리학
1. 최고의 개념으로서 인격체
1) 이성적 존재로서 인격체
2) 인격체로서 사회
3) 인격체로서 정부
4) 도덕적 인격체로서 국가
2. 윤리학의 원리로서 인격체의 가치
1) 가치의 주관으로서 인격체
2) 법의 주체로서 인격체

Ⅳ. 율곡 이이의 윤리학
1. 도덕실천주체의 확립
2. 도덕의 사회적 실천원리
3. 도덕적 이상사회의 건설

Ⅴ. 막스 셸러의 윤리학
1. 정신과 감정으로서 이성비판
2. 감정작용의 최고단계로서 사랑

Ⅵ. 흄의 윤리학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윤리학의 성격
동양 사상에서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서양 사상에 있어서도 과거에는, 다시 말해서 근대 이전에는, ‘사실’과 ‘가치’의 세계를 그다지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았다. 소크라테스(Socrates)가 “선한 것을 알면서도 악을 행하는 경우란 있을 수 없다”라고 말할 때의 이른바 앎(episteme)이란 베이컨(F. Bacon)이 “지식은 힘이다”라고 말할 때의 앎(knowledge)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었다. 전자는 말하자면 도덕적 통찰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인생의 참 목적을 아는 것이요, 인생의 진정한 행복을 아는 것이었다. 이에 반해 후자는 ‘과학적 지식’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그것을 통해 자연을 지배함으로써 인간 삶의 풍요를 가져오게 하는 그런 것이었다. 거기에는 도덕적 가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 없었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자연관 역시 우리가 지금 이해하고 있는 물리학적 자연관과는 다른 것이었다. 고대의 자연관에는 정신적 차원이나 도덕적 차원과 유리된 물질 그 자체만으로 이루어진 ‘자연’ 개념은 아직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러한 개념이 분명하게 등장한 것은, 데카르트(Descartes)가 실체를 사유(thought)의 속성을 가진 정신과 연장(extension)의 속성을 가진 물질의 두 가지로 나눈 뒤부터, 아니 보다 구체적으로는 뉴턴(Newton) 물리학이 커다란 성공을 거둔 이후부터일 것이다.
참고문헌
강영안, 도덕은 무엇으로부터 오는가-칸트의 도덕철학, 서울 : 조합공동체 소나무, 2000
김태길, 윤리학, 서울 : 박영사, 1998
김형호 외, 율곡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김춘태·이대희, 서양근세윤리학, 형설출판사
사하키안 지음, 송휘칠·황경식 옮김, 윤리학의 이론과 역사, 박영사, 2002
최희봉 저, 흄의 철학, 자작아카데미,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