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조작식품(GMO,유전자변형식품)안전성평가,문제점, 외국 유전자조작식품 규제사례,제언

 1  유전자조작식품(GMO,유전자변형식품)안전성평가,문제점, 외국 유전자조작식품 규제사례,제언-1
 2  유전자조작식품(GMO,유전자변형식품)안전성평가,문제점, 외국 유전자조작식품 규제사례,제언-2
 3  유전자조작식품(GMO,유전자변형식품)안전성평가,문제점, 외국 유전자조작식품 규제사례,제언-3
 4  유전자조작식품(GMO,유전자변형식품)안전성평가,문제점, 외국 유전자조작식품 규제사례,제언-4
 5  유전자조작식품(GMO,유전자변형식품)안전성평가,문제점, 외국 유전자조작식품 규제사례,제언-5
 6  유전자조작식품(GMO,유전자변형식품)안전성평가,문제점, 외국 유전자조작식품 규제사례,제언-6
 7  유전자조작식품(GMO,유전자변형식품)안전성평가,문제점, 외국 유전자조작식품 규제사례,제언-7
 8  유전자조작식품(GMO,유전자변형식품)안전성평가,문제점, 외국 유전자조작식품 규제사례,제언-8
 9  유전자조작식품(GMO,유전자변형식품)안전성평가,문제점, 외국 유전자조작식품 규제사례,제언-9
 10  유전자조작식품(GMO,유전자변형식품)안전성평가,문제점, 외국 유전자조작식품 규제사례,제언-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전자조작식품(GMO,유전자변형식품)안전성평가,문제점, 외국 유전자조작식품 규제사례,제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전자조작식품(GMO, 유전자변형식품)의 정의

Ⅲ. 유전자조작식품(GMO, 유전자변형식품)의 유해성

Ⅳ. 유전자조작식품(GMO, 유전자변형식품)의 윤리성
1. 생명특허 문제
2. 소비자의 알 권리와 선택할 권리의 침해

Ⅴ. 유전자조작식품(GMO, 유전자변형식품)의 안전성평가

Ⅵ. 유전자조작식품(GMO, 유전자변형식품)의 관리 현황
1. 국가별 현황
2. 국제동향

Ⅶ. 유전자조작식품(GMO, 유전자변형식품)의 문제점
1. 독성물질 및 발암 생성 유발
2. 알레르기 반응 유발
3. 우량 품종이 유전자 삽입
4. 환경적응 유전자의 삽입
5. 새로운 고분자 생산 유전자의 삽입
6. 무비료 농작물
7. 무공해(무농약) 농작물
1) 병충해에 저항성을 가지는 농작물 개발
2) 살충제 분비 농작물개발

Ⅷ. 외국의 유전자조작식품(GMO, 유전자변형식품) 규제 사례
1. 유전자 조작 농산물에 대한 반발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GM 농산물 경작 확대 추세에도 제동이 걸렸다
2. 유럽처럼 미국에서도 유전자를 조작해 생산한 원료가 첨가되었는지 여부를 식품용기에 표시하게 하려는 소비자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어 식품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가 섭취하던 전통적 식품들은 오랜 동안 인간의 건강에 지장이 없도록 가공하여 사용해왔으므로, 일부 유전자를 변형하여 만들어진 대부분의 식품들은 문제가 없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고 된 몇 건의 위험 사례들은 우리로 하여금 유전자조작 식품의 잠재적 위험에 대해 진지하게 고려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브라질땅콩 유전자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사람은 그 유전자를 집어넣은 콩에 대해서도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켰다. 또 미생물 유전자 조작으로 생산된 트립토판(식품에 흔히 첨가하는 아미노산)에 의하여 수십 명이 사망한 사례도 발생하였다. 유전자조작시에 표식유전자로 사용되는 항생제내성 유전자의 위험성도 간과할 수 없다. 표식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단백질 자체의 잠재적인 독성유발 가능성 및 경구 항생제의 남용으로 인한 선택압력을 받을 경우 장내 미생물에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전이될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더욱이 미생물은 세대기간이 짧으므로 이렇게 해서 형질 전환된 장내 미생물 집단이 급격히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이러한 사례를 들어 유전자조작 식품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것은 정당성을 가진다.
한편, 이러한 경계심은 지나치게 과장된 것이라는 대부분의 과학자들의 주장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 과학기술부, 인간유전체연구의 ELSI 기반구축 및 확산 프로젝트, 한국과학기술원, 2003
◈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유전자 전환 작물 안정성에 관한 동향 분석, 1999
◈ 박용하, 유전자변형생물체의 환경 위해성 평가기술, 창립 20주년 기념 심포지엄 및 추계학술발표회, 한국환경농학회, 2001
◈ 박선희, 유전자변형작물(GMO), 한국식품의약품안정청, 2000
◈ 벽호, 유전공학의 놀라운 세계, 과학세대, 1997
◈ Michael Hansen, Ph. D. and Jean Halloran, 유전자 조작된 식품과 관련될 수 있는 환경과 인체 건강 위험, Consumer Policy Institute/Consumers Union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