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

 1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1
 2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2
 3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3
 4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4
 5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5
 6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6
 7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7
 8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8
 9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9
 10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10
 11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11
 12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12
 13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13
 14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예방의학] 천안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첫 흡연시기에 미치는 요인 조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가설

3. 연구의 목적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2. 연구 변수

3.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흡연시작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고찰

Ⅴ. 결론

VI. Reference


본문내용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에서는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대학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자로 하여 편의추출하였다. 단국대학교, 백석대학교, 호서대학교의 대학생들에게 총 1,2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이중 1,049부(회수율:83.9%)를 회수하였다. 그 중 불완전한 설문지 27부를 제외한 총 1,022부를 사용하였다. 이 중 흡연자 군을 흡연시작시기(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 따라 나눈 결과, 기타 16명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표본 수는 1,006명이었다.

2. 연구 변수
1) 독립변수
개인특성,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일부 문항을 제외한 거의 모든 문항들은 연구 대상자가 처음 흡연을 시작했던 시기를 기준으로 답변하도록 요구하였다.
(1) 인구 사회학적 특성(Demographic factors)
• 성별 : 가능한 값은 ‘남성(1)’또는‘여성(2)’이다.
• 연령 : 주관식
• 가족구성원 수 : 주관식
• 형제ㆍ자매의 수 : 가능한 값은 ‘없다(1)’, ‘1명(2)’, ‘2명(3)’, ‘3명(4)’, ‘기타(5)’이다.
• 건강 상태(Yoo, 2007) : 연구 대상가자 스스로 지각하는 건강상태에 대하여 측정. 가능한 값은 ‘매우 건강하다(1)’, ‘건강하다(2)’, ‘건강하지 않다(3)’이다.
(2) 가족 특성(Family factors)
• 경제적 수준: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을 묻는다. 가능한 값은 ‘평균이상(1)’, ‘평균(2)’, ‘평균이하(3)’이다.
• 부모의 최종 학력 : 부모 간 교육수준을 비교하여 높은 교육수준을 선택하였다. 가능한 값은 ‘중학교 이하(1)’, ‘고등학교(2)’, ‘전문대(3)’, ‘4년제 대학(4)’, ‘석사 이상(5)’, ‘기타(6)의 6가지다.
• 부모의 양육 태도(Park, 2009) : 부모님이 자주 때리거나 욕설을 하는 정도를 조사한 두 문항을 이용하여 평균을 측정하였다. 가능한 값은 ‘전혀 그렇지 않다(1)’부터 ‘매우 그렇다(5)’까지이다(Cronbach's α=.67).
• 가족 내 흡연자 수 : 가능한 값은 ‘없다(1)’, ‘1명(2)’, ‘2명(3)’, ‘3명(4)’, ‘4명(5)’, ‘기타(6)’이다.
• 부모와의 관계 : 부모님과 대상자가 함께 시간을 보내려는 노력, 부모님의 대상자에 대한 사랑과 애정, 대화를 나누는 정도 등을 묻는 5가지 문항을 사용한다. 가능한 값은 ‘전혀 그렇지 않다(1)’부터 ‘매우 그렇다(5)’까지이다.
참고문헌
VI. Reference

이규식, 김주경, 이동현 (2005). 학교생활 및 가정환경이 청소년 흡연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7(2), 263-272.
이정렬, 서미혜, 조원정, 배선형, 이경희, 함옥경, 서구민 (2004). 서울 일지역 청소년 흡연관련 요인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5(1), 95-101.
이정렬, 이경희, 배선형, 서구민, 함옥경 (2004). 청소년을 위한 흡연예방사업 효과 평가.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8(1), 74-79
임국환, 이준렬, 최만규, 김춘진 (2004). 대학생들의 음주 및 흡연실태와 관련성 분석. 대한보건연구, 30(1), 57-70
임미영, 윤영미 (2009). 초등학교 흡연 예방교육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6(1), 39-50
정미현, 신미아 (2006). 흡연대학생의 흡연지식과 태도와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 69-78.
최정숙 (1999). 인지행동요법을 적용한 금연프로그램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한선희 (2002). 흡연예방교육이 중학생의 흡연 지식/태도 및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2), 230-238.
홍경의 (2001). 여자 대학생의 흡연행동에 관한 원인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2). Annual smoking-attriburable mortality, years of potential life lost, and economic costs-United States, 1995-1999.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51, 300-303.
Donohew, L., Palmgreen, P., Zimmerman, R., Harrington, N., & Lane, D. (2003). Health risk takers and prevention. In D. Romer(Ed.), Reducing adolescent risk; Toward an integrated approach (pp. 171-182). Thousand Oak, CA: Sage Publishing.
Jung, M. Y., Park, C. U. (2001). A Study on the Factors of Effecting on Smoking Behavio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ity Area. J Korea Public Health Assoc, 27(1), 39-52
Kang, Y. K. (2002). A Comparative Study on Impulsivity,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of the College Students in Cheonan. NeuroPsychiatrics, 41(6), 1089-1098.
Kim, H. J. (1999). Differences of Health Risk Factors due to Socioeconomic Status. Unpublished master's these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University.
Kim, H. W. (1999). Determinants of Smoking - Cessation Behavior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 of Korean Academy of Nurs, 29(1), 48-60.
Kim, O. S. (1999). The Effects of Loneliness on Alcohol Drinking, Smoking, and Health Perception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1), 107-116.
Kim, Y. M. (2005). A study on concurrent use of alcohol and cigarette among adolescents. Mental Health Soc Work, 20, 40-68.
Lee, G. H. (1997). The Depression Scales and The College Students’ Health Care. J of Korean Community Nurses Academic Society, 8(1), 144-154.
Lee, J. H., Kang, E. S., Lee, M. H., & Lee, Y. E. (2001).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gram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Comm Nurs, 12(3), 716-731.
Lee, S. Y., Lee S. U. (2000).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moking Behavior in Korea. J Korean Society of Health Statistics, 25(2), 41-50.
Mischel, W., & Mischel, H. N.(1983).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knowledge of self-control strategies. Child Development, 54, 603-619.
Park, C. H. (1987). Self - Regulation of the Child During Mother - Child Interaction. Journal of Child Studies, 8(1), 1-4.
Park, S. H. (2009). Smoking Behavior and Predictors of Smoking Initiation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J Korean Acad Nurs, 39(3), 376-385.
Ryu, N. M., & Yoon, H. M. (2008).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peer confirmity, and parental management factors on adolescents' drinking behavior: Focused on the positive alcohol expectancies &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mediators. J Korean Soc Child Welfare, 25, 39-69.
Son, J. N. (2002). A Study on Identification of Family Function, and Family Type in Boys High School Students by Smoking Behavior. J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 11(1), 78-88.
Tyas, S. L., & Pederson, L. (1998).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 smoking.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Tobacco Control, 7, 409-420.
Woo, E. K. (2002) A study on the Knowledge Level of Smoking and Smok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e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 Korean Association of Smoking and Health (2008). Survey of smoking behaviors among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ers in 2008.
Yoo, J. S. (2007). A Diagnostic Study on the Variables Related to Smok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the PRECEDE Model-, J Korean Acad Soc Nurs Edu, 13(2), 266-27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