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문학과 여성] 변혁의 작가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 작품관과 대표작 분석

 1  [영미문학과 여성] 변혁의 작가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 작품관과 대표작 분석-1
 2  [영미문학과 여성] 변혁의 작가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 작품관과 대표작 분석-2
 3  [영미문학과 여성] 변혁의 작가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 작품관과 대표작 분석-3
 4  [영미문학과 여성] 변혁의 작가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 작품관과 대표작 분석-4
 5  [영미문학과 여성] 변혁의 작가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 작품관과 대표작 분석-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미문학과 여성] 변혁의 작가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 작품관과 대표작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작가소개
◈ 작품관
◈ 대표작 소개
◈ 연대순 작품 일람표(울프의 생존기간 동안의 출판물)
◈ 참고문헌
본문내용
◈ 대표작 소개
1. 댈러웨이 부인(Mrs. Dalloway)

『댈러웨이 부인』은 울프가 성공을 거둔 첫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울프는 중년에 접어든 댈러웨이 부인의 일생을 단 하루-1923년 6월 중순, 수요일-에 집약하여 단상과 기억을 불연속적인 꼴라주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이 소설은 이날 아침 국회의원 남편을 둔 댈러웨이 부인이 저녁에 그녀의 집에서 열릴 파티를 위해 꽃을 사러 외출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파티에 대한 묘사로 끝나는, 특별한 사건은 일어나지 않는 그저 단순한 일상의 하루를 그리고 있다. 그러나 독자는 하루 동안 댈러웨이 부인의 의식이나 행동을 좇으면서, 그녀의 과거, 성장과정, 성격 등 개인의 역사뿐만 아니라 그녀와 관련이 있는 사람들이나 그날 그녀가 우연히 마주치는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웨스트민스터에 있는 가족에 대한 반응이나, 옛 구혼자이며 이제 막 인도에서 돌아온 피터 월시 등에 대한 그녀의 생각을 통해서 독자는 이들을 보게 된다. 울프는 “그녀는 생각했다 또는 기억해낼 수 있다”등의 말로 과거에 대한 언급이 순전히 작중인물의 의식을 통해서 전달되고 있음을 독자에게 계속 상기시킨다.
이 작품을 하루라는 짧은 시간 안에 일어난 것으로 축약한 이유는 무엇일까? 초점을 액션에 두기보다 인간의 내면의식에 둔다면, 이를 집중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실제의 시간을 많이 설정할 수가 없거니와, 그 이상으로 늘릴 필요도 없다. 작품 속에 설정한 시간은 단 하루라 해도, 그 안에서 얼마든지 만은 의식을 다룰 수 있기 때문이다. 『댈러웨이 부인』에서 개발된 괄목할 만한 테크닉으로 크게 두 개를 들 수 있는데, 하나는 서로 다른 인식과 시점의 발굴이며, 또 하나는 시간상 현재와 과거를 넘나드는 의식작용의 탐구이다. 『댈러웨이 부인』의 실험적 문학기법은 시간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부인의 현재의 체험은 과거에 대한 결과, 그리고 현재와의 관련 속에서 생생하게 재현된다. 시간에 대한 새로운 의식은 또한 작품의 구조 면에서도 혁신적인 스토리 진행방법을 낳았다. 마치 인간의 마음속에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구분 없이 동시에 공존하고 있듯이 이 소설에는 장(章)의 구분이 없다. 스토리도 연대순으로 진행되어가기보다는 과거와 현재가 수시로 교차되며 인물의 의식의 흐름에 따라 전개된다. 바로 모더니즘 소설을 특징짓는 기법인 ‘의식의 흐름’과 ‘내적 독백’이 바탕이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울프는 『댈러웨이 부인』에서 ‘내적 독백’을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시간의 제약에서 해방될 수 있었다.
현대소설로서 『댈러웨이 부인』의 가장 특기할 점은 대상물이나 사건, 좀 더 확대하면 리얼리티에 대한 인식자의 이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의 시각이라는 주관성 때문에 리얼리티에 대한 이해는, 설혹 인식자에게는 그 자체가 진리로 여겨진다 해도, 다른 관점에서 볼 때 제한성과 왜곡을 피할 수가 없다. 이 작품은 진리의 절대성보다는 상대성을 은연중 시사하고 있다. 『댈러웨이 부인』에서 가장 비정상적인 감지로 인하여 왜곡된 인식을 하는 극단적인 사례는 바로 셉티머스 스미스(Septimus Smith)의 경우이다. 작품에서는 주인공 클러리서 댈러웨이의 의식이 지배적이지만, 한편으로 그녀의 의식의 대응자 또는 분신이라 할 수 있는 의식이 셉티머스의 의식이다. 두 사람은 서로 알지 못하고 만난 일도 없으나 둘 다 강렬하고도 민감한 감지력을 지녔으며 마치 “반투명의 봉투” (『일반독자』, 150면)와도 같은 자신들의 의식 속에 싸여 있다. 물론 정신분열 증세를 보이는 셉티머스에 비해 클러리서는 외부적으로는 평온함을 유지하여 어느 누구도 그녀의 영혼의 저변에 있는 불안정하고 어두운 심층을 알지 못한다. 소설 속에서 이 두사람의 의식은 나란히 나아가며 작품의 끝에서 셉티머스의 자살 소식을 들은 클러리서는 그와의 깊은 유대감을 느낀다. 셉티머스는 시인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대상물에 대해서 극단적인 비전을 갖고 파악한다. 그는 은유적으로 생각할 뿐만 아니라 외부 리얼리티에 자신의 내적 비전을 투영함으로써 그것이 사실인 양 느끼게 되어, 자신의 부인 레지아(Rezia)를 꽃이 핀 나무로 보는가 하면, 또한 붉은 꽃이 그를 통해서 자라고 있다고 생각하고, 나뭇잎들과 이야기하며, 새들이 그리스어로 말하는 것을 듣는다고
참고문헌
◈ 참고문헌

John Batchelor, Virginia Woolf The major novels(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Werner Waldmann, 이은화 역,『버지니아 울프』(한길사, 1997).
김희정, “버지니아 울프의 여성적 글쓰기: {파도}와 {막간}의 두 겹 언어”(『현대영미소설』5권 2호, 1998).
김용철,『영국소설가 평전』(신아사,2007).
나영균,『버지니아 울프』(정문사, 1995).
박희진,『버지니어 울프 연구』(솔,, 1994).
박희진,「20세기 대표적 모더니스트 작가, 버지니아 울프」,
『출판저널』, 2009. 12. 25. .
윤희억,『영국문학의 이해』(지문당, 1999).
이상규,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에 나타난 '타자' 연구”(인천:인하대 대학원, 2004).
전은경, “버지니아 울프”(영미문학연구회,『영미문학의 길잡이 1』,창비, 2007).
버지니아울프, 박희진 역, 『등대로』(솔,1996)
버지니아울프, 나영균 역, 『댈러웨이 부인』(문예출판사,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