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신교 자유권 획득과 동학의 교조신원운동

 1  조선의 신교 자유권 획득과 동학의 교조신원운동-1
 2  조선의 신교 자유권 획득과 동학의 교조신원운동-2
 3  조선의 신교 자유권 획득과 동학의 교조신원운동-3
 4  조선의 신교 자유권 획득과 동학의 교조신원운동-4
 5  조선의 신교 자유권 획득과 동학의 교조신원운동-5
 6  조선의 신교 자유권 획득과 동학의 교조신원운동-6
 7  조선의 신교 자유권 획득과 동학의 교조신원운동-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의 신교 자유권 획득과 동학의 교조신원운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선의 문호 개방과 신교 자유권 획득
1) 조선의 문호 개방과 신교 자유권 획득

2)한미수호조약(韓美修好條約)의 체결과 미국인의 내왕

3)한불조약(韓佛條約) 체결과 신교 자유권 획득

2. 교조신원운동

1) 신미 이필제의 반란

2)공주 장사

3)삼례집회(1892년 11월 1일 : 양 12월 19일)

4) 서울 복합상소(1893년 2월 11일 : 양 3월 29일)

5) 보은 집회(1893년 3월 11일 양 4월 26일)

참고문헌

본문내용
3)한불조약(韓佛條約) 체결과 신교 자유권 획득
한미 수호조약이 맺어졌다는 소식이 천진에 알려지자 그곳에 있던 영국, 독일, 프랑스의 외교관들도 곧 조선으로 나와 같은 조약이 맺어지기를 요구하게 되었다. 그 결과 한영(韓英), 한독(韓獨) 사이의 수호 조약이 각각 그해 6월에 제물포에서 맺어졌으나 이것의 비준(批准)이 영국 국회에서 거부됨에 따라 독일도 이에 동조하여 이듬해 11월 28일(음력 10월 27일)에 수정된 조약문이 서울에서 다시 체결되고, 이어 한이(韓伊), 한로(寒露) 사이의 조약이 1884년 6월과 7월에 각각 체결되었다. 1886년 5월6일(음력 4월 3일)에 전권대신 코고르당(F.G. Cog-ordan)을 서울에 보내어 조선 전권 대신 김만식과 교섭하게 한 끝에, 6월 4일에는 마침내 한불수호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한불 조약의 제9조 2항에는 ‘양국인이 서로 다른 나라에 가서 그 나라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다’라는 뜻의 두 ‘교회(敎誨)’라는 글자를 넣게 되었다. 이 두 글자는 조선에 있어서 신교의 자유를 억지로나마 얻게 되는 금언(金言)이었다. 한불조약은 이듬해 5월 30일(음력 4월 8일)에 콜랑 드프랑시(Collin de plancy)가 와서 김윤식과 비준을 교환하여 정식으로 효력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그 이후 프랑스 성직
참고문헌
참고문헌
-석사학위 논문「안병무의 하나님 나라 이해와 최제우의 종말론 사상 비교연구」. 이재홍. 한신대학교신학대학원. 1998


참고인터넷주소
동학 인터넷강의 http://www.mgoon.com/view.htm?id=2384480
동학 http://www.mizii.com/jesusi/inlight/religion/korean/donghak/donghak.htm
신교의 자유권 획득 http://blog.daum.net/pius4004/1339853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