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

 1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1
 2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2
 3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3
 4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4
 5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5
 6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6
 7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7
 8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8
 9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9
 10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10
 11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11
 12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12
 13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13
 14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14
 15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15
 16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16
 17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17
 18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18
 19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19
 20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 복식사] 은, 주나라 시대 복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은나라 시대 복식
주나라 시대 복식
진, 한나라 시대 복식
전한 시대 관료 복식
후한 시대 황제 이하 복식
위진, 남북조 시대 복식
위진 시대의 사회분위기와 복식
위진 시대의 복제와 고습
위진 시대의 복식의 특징
위진 시대 복식 연구의 한계
남북조 시대의 사회분위기와 복식
남북조 시대 호복이 끼친 영향
도교의 영향

수, 당나라 시대 복식

사회분위기와 복식
수, 당나라 시대 남성 복식
수, 당나라 시대 여성 복식
호복
남장
송나라 시대 복식
이념과 통치방식과 복식
송나라 시대 남성복식
송나라 시대 여성복식
송나라 시대 복식의 특징
요, 금나라 시대 복식

원나라 시대 복식
통치방식과 복식
원나라 시대 남녀복식
원나라 시대 복식의 특징
결론


명나라 시대 복식
이념과 통치방식과 복식
명나라 시대의 남녀 복식
명나라 시대 남성 복식
명나라 시대 여성 복식
명나라 시대 복식의 특징

청나라 시대 복식
통치 이념과 복식
청나라 시대 여성복식-치파오
치파오의 구조
치파오의 원류
청대의 포복(袍服)
청대의 포복(袍服)-황제복

근현대 복식
사회분위기와 복식
현대의 치파오
서구문화 흡수와 치파오
중화인민공화국과 치파오
현대의 치파오
치파오의 재부각
중산복
2000년대의 중산복
본문내용
장식형 : 금박형(제물선 또는 이색선 위에 금박으로 장식을 하거나, 의복 가장자리에 금색 천을 덧대어 장식한 것











잘 보면 조류 문양으로 금박을 했음을 알고 있다.
(우측 상단 사진은 금박형이 무엇인지 더 쉽게 알려주기 위한 사진)



요(遼), 금(金)의 복식은 요와 금이 중국 역사에서 가지는 비중이 적은 만큼 큰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하지만 살펴보자면, 거란의 습속 가운데 특이한 것으로 가운데를 밀어버리고 귓가에만 머리를 남기는 곤발이 있다. 여자는 어렸을 때는 곤발을 하고 시집가기 전에 머리를 길러 결혼한 후에는 높게, 쌍으로 올리고 소라모양으로 올리는 등 상투를 했다. 거란 여성들은 기쁠 때 얼굴에 황색을 바르는 풍속이 있다.


여진족은 흰 색을 숭상했으며 겨울에는 가죽옷을, 여름에는 비단 적삼과 치마를 입었고 머리모양은 남자들은 변발(辮髮), 여자들은 변발반계(辮髮盤鷄)를 했으며 금, 은, 옥의 귀걸이를 했다. 여자들은 왼쪽으로 여미는 둥근 적삼에 깃이 곧은 윗도리를 입고 흑색이나 자색의 치마와 배자를 입었는데 이는 한족의 것과 조금 달랐다.

본래 유목민족이었던 원나라 몽고족은, 광활한 중국 영토를 다스릴 때 중국의 전통적인 특징과, 유목민족의 특징을 결합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초기에는 몽고족의 풍습을 중국인에게 강요하였으나, 결국에는 중국을 다스리면서 한족 고유의 예법을 따르지 않을 수 없음을 알고 관복제도에 있어서 한족의 복식 규정을 일부 채용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