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ber-Space와 Gender, 그리고 정체성

 1  Cyber-Space와 Gender, 그리고 정체성-1
 2  Cyber-Space와 Gender, 그리고 정체성-2
 3  Cyber-Space와 Gender, 그리고 정체성-3
 4  Cyber-Space와 Gender, 그리고 정체성-4
 5  Cyber-Space와 Gender, 그리고 정체성-5
 6  Cyber-Space와 Gender, 그리고 정체성-6
 7  Cyber-Space와 Gender, 그리고 정체성-7
 8  Cyber-Space와 Gender, 그리고 정체성-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Cyber-Space와 Gender, 그리고 정체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사이버스페이스와 gender문제

Ⅱ. 문제의 현실 : 정보불평등과 사이버 마쵸이즘

Ⅲ. Cyber-Macho Culture의 계기와 과정들

Ⅳ. 역전의 단초 : 새로운 성 정체성

Ⅴ. 결론 : 저항전략으로서의 성찰성과 “유연적 자아”







본문내용
Ⅰ. 사이버스페이스와 gender문제

사이버 공간에서 성차(gender) 문제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해 사이버 페미니즘(cyber-feminism) 이론가들은 양극적인 견해를 제시한다. 한편으로는 사이버 공간을 인종, 나이, 성별, 육체에 의한 차별이 희박해지는 유토피아적인 공간으로 보거나 적어도 대면적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나타나는 성적 억압이나 차별의 구조가 약화된 곳, 따라서 성별 구성력의 재코드화를 통해 현실세계의 성차별적 권력관계를 해체(전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보는 시각이 있다(Haraway, 1991; Balsamo, 1995; Braidotti, 1996). 이들 사이버 페미니스트들에게는 온라인 성폭력과 같은 문제는 인간이 사이버 스페이스로 가져오는 낡은 관습의 문제일 뿐, 현실공간의 의미들이 재코드화되는 사이버공간에서 더 이상 여성에게 위협적이 될 수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
참고문헌


구자순 (1999),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성 정체성과 의사소통형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통권 제4호: 5-40.
류승호(1997),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공동체, 창작과 비평(봄호).
우지숙(1999), ‘포르노그라피 규제에 대한 담론을 통해 본 사이버스페이스와 여성문제’, 한국언론학보, 제44-1호(겨울), 한국언론학회:244-286.
윤세정(1999), 온라인 성폭력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여성의 PC통신 채팅경험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이선영(1999),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여성배제 구조와 저항에 관한 연구 -PC통신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이수연(1999), “사이버포르노와 여성: 사이버 포르노의 인식론, 수용 그리고 Gender", 한국언론학회 여성커뮤니케이션연구회 제25-1차 쟁점과 토론 발표논문집:21-32.
정진욱(1999), “사이버상에서의 성폭력의 실태”, 사이버 성폭력 현황과 대책 세미나자료문, 새정치국민회의:9-27.
최은정(2000), “온라인에서 여성으로 살아가기”; http://cyberculture.re.kr/forum/paper/
cyfemi.htm.
김유정․조수선 (1999), “새로운 매체, 새로운 성차별: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여성커뮤니케이션연구회 제25-1차 쟁점과 토론 발표논문집: 1-19.
김혜인 (2000),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 http://cyberculture.re.kr
/forum/paper/self.htm.

Balsamo, Ann(1995), “사이버공간의 가상육체”, 홍성태편(1997), 사이보그, 사이버컬쳐, 문화과학사.
Braidotti, Rosi(1996), “Cyber-feminism with a Difference', in New Formations: Technoscience” No. 29(summer); http://www.let.ruu.nl/womens_studies/
rosi/ cyberfem.html.
Giddens, Anthony (1992), Transformation of Intimacy-Sexuality, Love and Eroticism in Modern Societies, 배은경․황정미(역),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새물결.
Haraway, Donna(1991), "A Manifesto for Cyborgs: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ist Feminism in 1980s", Simians, Cyborgs and women: the Reinvention of Nature, New York: Routledge; 149-181: http//www.legend.stanford.edu/dept/HPS/Haraway/CyborgManifesto.html; 임옥희 역(1995), “사이보그를 위한 선언문: 1980년대에 있어서 과학, 테크놀로지, 그리고 사회주의 페미니즘”, [문화과학] 8호, 문화과학사.
Kramarae, Cheris and Jana Kramer (1995), "Net gains, Net losses", Women's Review of Books, Vol. 12, No. 5(feb).
Michals, Debra (1997), "Cyber-Rape: How Virtual Is It?", Ms. March/April.
Poster(1990), The mode of information-Poststructualism & Social Context, 김성기(역), 뉴미디어의 철학, 민음사.
Rogers, Everett M.(1986),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New Media in Society, 김영석 역(1988), 현대사회와 뉴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서울: 나남.
Schweber, Howard(1996), "And then the Failroad Came : Law, Pornography, and the Regulation of Cyberspace"; http://web.mit.edu/ womens_studies/ schweber. html.
Shade, Leslie Regan(1993), "Gender Issues in Computer Networking", : http:// www.mit.edu:8001/people/solokin/women/lrs.html.
Spender, Dale(1995), Nattering on the Net: Women, Power and Cyberspace, Melbourne: Spinifex Press.
Stone, Allucqure Rosanne(1991), "Will the Real Body Please Stand Up?: Boundary Stories About Virtual Culture", Cyberspace: First Steps, M. Benedikt (Cambridege, MA: MIT Press):81-118.
Troung, Hoai-An(1993), "Gender Issues in Online Communication", http:// eff.org.pub/Net-culture/Gender-issue/cmc-and gender.article.
Turkle, Sherry(1996), Life on the Screen: Identity in the Age of the Internet, London: Weidenfeld & Nicolson.
하고 싶은 말
Cyber-Space와 Gender, 그리고 정체성에 관한 레포트 입니다.

많은 도움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