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

 1  [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1
 2  [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2
 3  [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3
 4  [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4
 5  [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5
 6  [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6
 7  [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7
 8  [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8
 9  [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9
 10  [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10
 11  [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11
 12  [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12
 13  [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응용생물학] 이종장기 이식용 미니 복제 돼지 생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❶ 설계 배경1) 설계 주제
○ 설계의 방향
○ 주제 선정 이유2) 설계 배경기술
○ 형질전환 동물 제조 방법
·유전자 조작법
·유전자 적중법
○ 기술 발달 과정
○ 설계방향 설정

❷ 설계 과정1)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2) 용어 설명3) 설계의 상세한 설명

➌ Discussion1) 산업상 이용가능성2) 해결되지 않은 이종이식 문제점
본문내용

기술 발달 과정 2002년 영국의 PPL사로부터 세계 최초로 알파-1,3-갈락토실트랜스퍼라아제(alpha-1,3-galactosyltransferase, 이하, 'GT'로 약창힘) 유전자가 이형접합적으로(heterozygous) 제거된 체세포 복제 돼지가 생산되었다. GT 유전자는 이종간 이식시 급속한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원인 유전자로서, 이 유전자가 제거될 경우 생체거부반응이 제거된 이종간 장기이식용 질환모델동물 개발이 가능하다. 2003년에 동 회사에서 GT 유전자가 동형접합적으로(homozygous) 제거된 체세포 복제에 성공함으로써 현 장기부족현상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장기 이식용 질환모델동물 생산을 위한 획기적인 진보를 가져왔다. 2005년 GT 유전자 제거된 복제 돼지 유래의 장기는 원숭이로 이식되었으며, 그 결과 급성 면역 거부반응 없이 이식 후 2-6 개월까지 생존이 지연됨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GT 유전자가 제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경로를 통하는 이종 항원에 의해 인체 보체 유전자들이 활성화 됨으로써 장기 이식시 심각한 거부반응이 초래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러한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GT 유전자 제거와 함께 분해 촉진 인자(decay-accerating factor,이하, 'DAF'로 약칭함), 막 보조인자 단백질(membrane co-factor protein, 이하, 'MCP'로 약칭함), CD59와 같은 인체 보체 억제 유전자를 과 발현하는 복제 돼지를 생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한편, 인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포유동물에 존재하는 N-글루콜릴뉴라미닌산(N-glycolylneuraminic acid, 이하,'Neu5Gc'로 약칭함) 항원 결정기 또한 이종장기이식시 면역거부반응을 야기함이 보고되었다. Neu5Gc는 CMAH에 의해 N-아세틸뉴라미닌산(N-acetylneuraminic acid, 이하, 'Neu5Ac'로 약칭함)로부터 전환된다. 한편 보체는 생체 내에서 면역작용에 관계하는 단백질들로 구성된 단백질 복합체 (C1-C9)로서 항원-항체 복합체가 형성되면 보체가 세균의 세포막에 결합하여 구멍을 내는 보체고정과 또는 항원-항체 복합체에 보체가 결합되어 식세포작용이 촉진되는 식균작용증진(opsonization)이 있다. 이러한 보체의 활동을 조절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 조절 단백질들이 발견되었으며, 보체의 활성화를 막거나 활성화된 보체의 분해를 촉진함으로써 보체의 작용을 조절한다. 숙주의 세포막에 있는 DAF는 C2와 C4b의 결합을 방해할 수 있으며, MCP는 C4b의 분해를 촉진하여 보체가 숙주세포에서 활성화되는 것을 막아줌으로서 보체에 의한 숙주세포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숙주 세포 표면에 있는 CD59는 C7, C8과 C5b6의 결합을 방해하여 막 공격 복합체의 형성을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