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

 1  [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1
 2  [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2
 3  [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3
 4  [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4
 5  [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5
 6  [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6
 7  [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7
 8  [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8
 9  [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9
 10  [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10
 11  [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11
 12  [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12
 13  [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학의역사와전망] 한국의 페미니즘 여성작가 김수자의 예술세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1 포스트모더니즘에 기반한 문화적 페미니즘의 대두
1-2 국내의 현대 페미니즘의 동향
2-1 작가 김수자와 그녀의 작품세계
2-2 작가 김수자의 작품 해석
III. 결론

본문내용
마지막 한가지는 새로운 매체를 통한 작업을 하고 있는 신세대 페미니스트그룹이다. 대표적인 작가로 이불 등이 있다. 그녀는 페미니즘을 표출하기 위해 관람자들의 오감을 자극해서 충격을 일으키는 방법을 채택한다. 이를 통해서 여성의 정체성을 세우고자 하는 것이다. 실례로 이불의 최근 작품인 는 실제로 나체에 천장에 매달려 괴성을 지르는 퍼포먼스이다. 간단하지만 강력한 이런 퍼포먼스를 통해 여성의 정체성회복을 위해 충격요법을 이용하려는 작가의 의도가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조류들을 검토해보고, 이번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바를 본질주의 페미니즘으로 한정 짓기로 했다. 본질주의 페미니즘은 이제는 구시대의 유물로 여겨지는 사회주의적 페미니즘과 반대되며 보다 현대적 관점을 견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다 현대적이라고 볼 수 있는 신세대 페미니스트 작가들은 새로운 관념을 제시하기 보다는 새로운 매체를 예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것에 가깝다. 따라서 우리가 차후 작품들을 일정한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할 때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본질주의로 구분되는 여러 작가들 중 김수자는 백남준의 명성을 잇는 유일한 작가로 평가 받으며 국내외에서 그 입지를 탄탄하게 굳히고 있는 예술가이다. 따라서 그녀의 작품을 통해서라면 한국만의 국지적인 페미니즘 예술이 아닌 한국적이면서도 국제적인 페미니즘 예술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 하에 그녀의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를 이끌어가고자 하였다.
2-1 작가 김수자와 그녀의 작품세계
미국에서 활동중인 김수자는 평면 작업에서 오브제와 설치미술, 퍼포먼스와 비디오 작품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여 평면과 입체, 공간과 시간, 삶과 예술을 아우르는 예술세계를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수자는 고 백남준작가와 신세대 작가 이불을 잇는 국제적인 명성을 가진 국내 예술가로 꼽힌다. 30년 전 1990년대 초부터 언더그라운드로 꾸준히 활동해오다가 지금은 제도권작가로 활동하는 30대 중후반의 작가이다. 대형국제전에 초대되고 해외에서 인정받은 후 국내에 그 성과를 토대로 명성을 얻고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1. 김경수, , 서울 : 고려원, 1994
2. 김경희, , 영남대대학원, 2003
3. 김복순, , , Vol.-No.15, 2006
4. 김주현, , , 한국미학회,
Vol.28 No.1, 2000
5. 박영순, , 경기대대학원, 2004
6. 수전 앨리스 왓킨스, , 윤길순 옮김, 파주: 김영사, 2007.
7. 윤난지 역, , 서울 : 눈빛, 2009
8. 이소영, , 정정호 공편, 서울 : 한신문화사, 1992
9. 정희진, , 서울 : 교양인, 2005
10. 조선령, , 문화과학사, Vol.- No.49, 2007
11. 캐롤린 코스마이어, , 신혜경 옮김, 부산 :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