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와 다문화

 1  세계화와 다문화-1
 2  세계화와 다문화-2
 3  세계화와 다문화-3
 4  세계화와 다문화-4
 5  세계화와 다문화-5
 6  세계화와 다문화-6
 7  세계화와 다문화-7
 8  세계화와 다문화-8
 9  세계화와 다문화-9
 10  세계화와 다문화-10
 11  세계화와 다문화-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세계화와 다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서론
2.본론
1)다문화주의
2)다문화와 한국
(1)음식의 다문화
(2)종교의 다문화
(3)의복의 다문화
(4)다문화 가정
3.결론
본문내용
⑤스시
스시는 고급스러운 이미지 마케팅으로 해외 시장을 점령한 일본의 대표 음식이다. 전 세계 6억 명의 일식 인구를 2012년 12억 명으로 늘인다는 구체적 계획을 세우고 세계화에 발 벗고 나선 일본은 실제로도 해가 갈수록 엄청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스시를 ‘음식외교관’으로 활용하면서 유럽, 미국, 아시아, 아프리카에 상류계층들만 먹을 수 있다는 고급음식의 이미지를 만들어 세계에 전파시킨 홍보 전략은 아주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여기에 일본에서 생산된 식자재를 사용해야 최상의 초밥 맛을 낼 수 있다는 과학적인 자료까지 제시하며 식자재 수출에도 힘을 보태고 있어 많은 국가들에게 본보기가 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현지화를 위한 끊임없는 메뉴 개발과 함께 스시의 역사와 젓가락 사용법, 먹는 방법 등을 설명한 ‘스시가이드(How to Eat Sushi)’를 발간하여 스시를 하나의 문화로 전달함으로써 친숙도와 신뢰도를 크게 제고시켰다. 이렇게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전략 덕분에, 전 세계 2만여 개의 일본식당 중에 북미지역에만 1만여 개의 일본식당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가브랜드위원회 공식 블로그 http://blog.daum.net/korea_brand/1098

(2)종교의 다문화
우리나라의 지배적인 종교는 유교와 불교, 그리고 토착신앙으로 볼 수 있는 도교였다. 그러다가 1880년대에 기독교가 유입되면서 우리나라의 종교는 보다 다양해졌다. 많은 박해 끝에 기독교도 안정적인 종교로 자리 잡은 지금, 우리나라에 새롭게 늘어나고 있는 종교가 하나 있다. 바로 무슬림이다. 2010년 전 세계 무슬림은 16억 1931만 명으로 세계 인구(69억 명)의 23%였다. 퓨 포럼 퓨(PEW) 포럼, 미국 싱크탱크 퓨 리서치센터의 연구프로젝트.
의 예측에 의하면 2030년에는 무슬림이 세계 인구의 1/4 이상(26.4%)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종교 가운데 성장세가 가장 가파른데,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거대 무슬림 국가들의 이웃이다.
국내 체류 외국인 자체도 늘어나고 있는데, 그 가운데서 우리나라에 체류하는 무슬림의 수는 약 9만 2천여 명, 우리나라에 정착한 무슬림은 총 4만 5천여 명이나 된다. 한국의 무슬림 인구에 대한 정확한 통계․조사 자료가 없어 이는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안정국 교수가 대강 추산한 결과이긴 하지만, 이들을 합쳐보면 지금 이 시각 한국에 살고 있는 무슬림의 수는 13만 7천여 명으로 어마어마한 수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주자에게조차 개방적이지 않은 한국에서 곱지 않은 시선을 받으면서도 한국인 무슬림 또한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스스로 무슬림이 되는 한국인, 국제결혼을 거쳐 무슬림이 되는 한국인, 한국 국적을 얻은 외국 출신의 무슬림, 그리고 그들의 아이들까지 더해져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수는 늘어나고 있지만 한국에서 살아가는 무슬림들은 마음 놓고 봄나들이도 즐길 수 없다. 지난 식목일, 경복궁을 거닐던 무함마드 아심(36)씨와
참고문헌
참고자료
*웹 사이트
지식채널e
http://home.ebs.co.kr/reViewLink.jsp?command=vod&client_id=jisike&menu_seq=1&enc_seq=3036719&out_cp=ebs
국가브랜드위원회 공식 블로그 http://blog.daum.net/korea_brand/1098
싸이월드 블로그-Cream : 한국에서 피자의 역사
http://www.cyworld.com/naacp/5884809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9/21/2007092101334.html
*단행본 및 정기간행물
전숙자 외, 《다문화 사회의 새로운 이해》, 그린, 2009.
서운석, 《다문화사회연구 2010 Vol3, No.1; 한국․중국․베트남의 다문화 사회 인식 비교 분석》, SIMS, 2010.


토의할 거리
1.앞서 동영상만 보고 지나간 이주노동자들이 처한 현실을 조금이나마 개선할 만한 대안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
2.국내에서 배척당하는 타종교 교인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