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

 1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1
 2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2
 3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3
 4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4
 5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5
 6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6
 7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7
 8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8
 9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9
 10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10
 11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11
 12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12
 13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13
 14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14
 15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15
 16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16
 17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17
 18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18
 19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19
 20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특수교육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과 복지, 재활보조기구 실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장애인의 자립생활
2.주체적인 자립 ‘직업’
3.외부적인 자립 ‘복지’
4.재활보조기구
본문내용
자립생활센터
주요 원리
서비스 제공자가 전문가로서 우월적 지위를 갖고 시설 중심의 일반적 서비 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이용 장애인이 자신의 욕구를 바탕으로 스스로 서비스를 조절,통제

자립생활 센터
버클리 자립센터:중증 장애인 개개인의 자기 결정권을 신장하고 타인에 대한 의존을 최소화 하기 위해 직접 서비스 및 의뢰, 조정 서비스를 제공. 미국의 경우 소비자 주도에 의해 운영되고, 지역 사회시설이며, 모든 장애 유형을 대상으로 하는 비거주 민간 비영리 기관이라고 정의.

기본 철학
①소비자에 의한 운영
②자조와 권익 옹호
③동료 관계 및 동료 간 역할 모델의 발전
④ 자원에 대한 접근성 보장


자립생활센터
서비스 내용
동료 상담
활동보조서비스(도우미 서비스)
교통 편의제공
자립생활 기술 훈련
정보제공과 의뢰
권익 옹호
주택 서비스
장비 관리 및 임대
복지 혜택에 대한 상담




구직자수 : 남성 14,488명(73.8%), 여성 5,134명(26.2%)
취업자수 : 남성 4,525명(68.4%), 여성 2,087명(31.6%)



구직자수 : 중증 8,920명(45.5%), 경증 10,702명(54.5%)
취업자수 : 중증 3,333명(50.4%), 경증 3,279명(49.6%)



구직자수 : 50대 4,711명(24.0%), 40대 4,036명(20.6%), 30대 3,810명
(19.4%), 20대 3,387명(17.3%)
취업자수 : 50대 1,263명(19.1%), 40대 1,283명(19.4%), 30대 1,536명(23.2%), 20대 1,517명(22.9%)


장애분야에서 인식변화를 바탕으로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는 시기이다.

장애인이 사회적 소수자나 사회적 타자로서의 단지 사회정책의 대상을 넘어서 사회적 주체로서 태어나기 위해서 자신의 경험을 객관화하고 공동의 권리와 이익을 확보하기 위한 사회운동이 활발 해 지면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장애인들의 이동권 투쟁이나 편의시설이나 차별에 대한 법적 대응이 늘면서 국민들의 인식도 장애를 동정이 아니라 권리로서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이와 같은 복지의 변천은 장애를 바라보는 시각을 변화시키고 사회적 접근의 토대를 변화시켰다.

2007년 개정된 장애인복지법에는 자립생활과 활동보조 서비스가 주요 내용으로 자리잡고 있다.
참고문헌
http://www.reportworld.co.kr/report/data/view.html?no=683791

http://www.reportworld.co.kr/report/data/view.html?no=719211

http://www.riss.kr/search/download/FullTextDownload.do?control_no=42c2c3ef95f1ffc4ffe0bdc3ef48d419&p_mat_type=be54d9b8bc7cdb09&p_submat_type=b51fa0b5ced94fec&fulltext_kind=a8cb3aaead67ab5b&t_gubun=&convertFlag=&naverYN=&colName=bib_t&DDODFlag=&loginFlag=1
한국 장애인 고용 공단 (www.kead.or.kr)

http://rscaresystem.blog.me/100122161782 ‘보조공학’

http://rtc.nrc.go.kr/ ’ 장애인보조기구사례관리시범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