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

 1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1
 2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2
 3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3
 4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4
 5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5
 6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6
 7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7
 8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8
 9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9
 10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10
 11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11
 12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12
 13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13
 14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전학] Drosophila를 이용한 상 염색체 유전 양상 관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Object

2.Introduction

3.Method & Materials

4.Result

5.Discussion

6.Reference
본문내용
초파리가 유전학 및 발생학재료로서 갖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① 초파리의 생활사는 고등한 무척추동물이지만 25℃에서 10일이면 성체가 되고 곧 성적인 성숙에 도달하여 자손을 낳는다.
② 많은 자손을 낳으므로써 결과에 대한 확률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③ 외부의 구조가 복잡하여 유전자 돌연변이에 따른 기능을 연구하기가 수월하다.
④ 염색체수가 적어 분자유전학적인 접근이 용이하다.
⑤ polytene chromosome을 가지고 있어 염색체상에서 유전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멘델은 완두를 사용하여 계획적인 교배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완두는 생장기간이 짧고 재배하기 쉬우며 결실이 잘 되어 실험재료로 적합하다. 또한 완두는 자가수정하기 때문에 순계를 얻을 수 있으며, 인공교배를 하기 쉽다.
 멘델은 종자상인로부터 특성이 다른 34종류의 완두를 구매하고, 2년 동안 자가수정을 통하여 순계 22계통을 육성하였다. 그리고 완두의 종자 모양과 색깔, 콩깍지의 모양과 색깔, 꽃의 색깔과 위치 및 줄기길이 등 7가지 형질에 대한 순계를 가지고 잡종교배 실험을 하였다.
 인공교배는 자방친의 약이 터지기 전에 약을 제거한 다음, 개화하는 화분친의 화분을 자방친의 암술머리에 수분시켜 준다. 멘델은 각 교배조합의 양친(A, B)간에 A X B 교배를 하면서 동시에 B X A 교배도 하였다. 이러한 교배방식을 정역교배(reciprocal cross)라고 한다.
 인공교배에 사용되는 개체를 양친 또는 P(parental generation)이라 하고, 교배하여 생긴 잡종종자와 잡종종자로부터 발아․생장한 잡종식물체를 잡종 제1세대 또는 F1(first filial generation, 기호 F는 라틴어의 ‘아들’을 뜻하는 filial에서 유래한 것임)이라고 한다. F1의 자가수정에 의해 나온 자손은 F2, 그 다음 세대는 F3, F4 …등으로 부른다.
 종자모양이나 종자색깔에 대한 잡종의 특성은 잡종종자에서 곧바로 나타나지만, 줄기 길이를 비록한 다른 형질은 교배종자가 발아하여 생장한 식물체에서 그 특성이 나타나므로 교배한 이등해라야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멘델은 각 교배조합의 F1, F2, F3세대를 전개하였으며, 또한 각 세대에서 분리되는 대립형질의 개체수를 조사하여 분리비를 계산하였다.
 멘델의 교배실험은 35m x 7m 크기의 실험포장과 온실에서 수행되었으며, 순계의 선발과정부터 교배실험이 끝날 때까지 모두 약 2만 8000포기의 완두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멘델이 성공적으로 실험을 수행할 수 있었던 이유 중의 하나는 자식성 식물인 완두를 실험재료로 사용한데다 인공교배하는 양친의 특성이 명확하게 구별되는 단순형질이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