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과학사] 종과 탑

 1  [한국 과학사] 종과 탑-1
 2  [한국 과학사] 종과 탑-2
 3  [한국 과학사] 종과 탑-3
 4  [한국 과학사] 종과 탑-4
 5  [한국 과학사] 종과 탑-5
 6  [한국 과학사] 종과 탑-6
 7  [한국 과학사] 종과 탑-7
 8  [한국 과학사] 종과 탑-8
 9  [한국 과학사] 종과 탑-9
 10  [한국 과학사] 종과 탑-10
 11  [한국 과학사] 종과 탑-11
 12  [한국 과학사] 종과 탑-12
 13  [한국 과학사] 종과 탑-13
 14  [한국 과학사] 종과 탑-14
 15  [한국 과학사] 종과 탑-15
 16  [한국 과학사] 종과 탑-16
 17  [한국 과학사] 종과 탑-17
 18  [한국 과학사] 종과 탑-18
 19  [한국 과학사] 종과 탑-19
 20  [한국 과학사] 종과 탑-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과학사] 종과 탑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1)
종(鍾)이란 무엇인가?

(2)
한국 종의 출현 시기

(3)
한국종의 구조와 상징

(4)
종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5)
한국종의 양식과 변천

(6)
계승과 변화의 모색, 고려 전기범종

(7)
새로운 조형의 시도, 고려 후기 범종

(8)
15세기, 한중 혼합양식의 출현

(9)
16세기, 사찰범종양식의 부활

(10)
17, 18세기 한국범종의 부흥기

(11)
19세기, 주조기술 및 조형양식의 쇠퇴기
2.


(1)
탑의 유래 및 개념

(2)
탑의 역사

(3)
탑의 종류

(4)
탑의 구조

(5)
탑의 시대별 특징

(6)
시대별 대표적인 탑
3.
참고문헌

본문내용
(9) 16세기, 사찰범종양식의 부활
15세기 후반 한중 혼합양식이 출현한 이후 해인사 홍치 4년 명동종(1491)을 마지막으로 16세기 중엽까지 왕실과 사찰에서 일제히 범종 주성이 중단되었다. 이는 조선왕조 개국 이래 시행된 억불정책으로 16세기 중반까지 불사가 엄격히 통제되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15세기에 제작된 수종사동종(1469)을 제외하고는 백련사동종(1569)이 주성되기까지 약 100여 년 동안 사찰에서 발원한 범종 제작은 암흑의 공백기를 벗어날 수 없었다.
16세기에 제작된 순수 사찰 발원 범종의 조형성을 일별하면 오늘날 전하는 9구 가운데 갑사동종을 제외한 8구가 한국종의 절대적 조형요소인 음통을 재현하고 있다. 또한 8구 모두 천판을 한국적인 원호형으로 구현하였으며, 고려 후기 양식인 입상대가 부활했다. 이것은 조선 전기에 사라졌던 전형적인 한국종 양식이 다시 부흥하는 전조이다. 동시에 꽁꽁 얼어붙었던 사찰의 청정불사도 서서히 여명기를 맞이했다.
16세기 사찰 발원 범종양식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먼저 종의 전체적인 외형이 전통적인 한국종 양식을 따르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용뉴에는 단룡과 음통이 부활하며 고려 후기 양식인 입상대가 다시 나타난다. 반면 상대가 사라지고 견대 부분에 중국종의 특징인 넓은 연판문양이 장식되기 시작한다. 범자문이 본격적으로 장엄되기 시작하는데, 특히 사라진 상대 자리에 원권(圓圈)범자문양대의 장식이 두드러진다. 유곽이 상대에서 분리되며, 비천상이나 불보살상이 장식되지 않는 사례도 거의 절반에 이른다. 갑사동종(1584)과 완주 화암사동종(16세기)의 경우 유례없이 지장보살입상이 장식되기도 하였다. 아울러 하대가 종구에서 약간 위로 상승한 예가 많은데, 이는 15세기 한중 혼합양식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15, 16세기 범종은 오늘날 국내에 16구, 북한에 2구, 일본 쓰시마 섬에 1구 등 총 19가 남아 있다. 이 가운데 15세기 왕실에서 주성한 한중 혼합양식 범종들은 흥천사명동종(1462), 성화4년명동종(1468), 낙산사동종(1469), 봉선사종(1469), 금강산 유점사종(1469), 해인사 홍치4년명동종(1491), 유점사 출토 조선동종(15세기), 쓰시마 섬 엔쓰지 조선동종(15세기 후반), 묘관음사동종(15세기 후반) 등 총 9구에 달한다. 이중 낙산사동종은 지난
참고문헌
3. 참고문헌
1) 강우방, 한국 불교조각의 흐름, 대원사
2) 김희경, 탑, 열화당 한국의 미술2, 1982
3) 장충식, 신라 석탑 연구 일지사, 1987
4) 정영호, 석탑, 대원사
5) 천득염, 백제계석탑 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6) 황수영, 한국의불교 공예, 탑파, 혜안, 1998‘
7) 범종, 생명의 소리를 담은 장엄, 한길아트 2006. 곽동해. 안장헌
8) 한국의 종, 古 염영하 서울대명예교수
9) 진천종박물관 (http://www.jincheonbell.net/)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