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

 1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1
 2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2
 3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3
 4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4
 5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5
 6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6
 7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7
 8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8
 9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9
 10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10
 11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11
 12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12
 13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13
 14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14
 15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15
 16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16
 17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17
 18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18
 19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19
 20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과 그 교육학적 시사점의 탐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세속계적 기대와 내재적 가치 추구의 갈등 양상
Ⅲ. 학문과 예술의 독자성 추구 노력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연구는 학문계와 예술계를 중심으로 세속계적 기대와 내재적 가치 추구의 갈등 양상을 살펴보고, 그러한 혼맥상 속에서 학문과 예술이 고유한 특성을 지닌 세계라는 점을 인정받기 위해 어떠한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성과 및 유용성의 압력, 사회적 인정, 경제적 지원과 보상 등의 세속적 기대는 학문 혹은 예술의 내재적 가치에만 몰두할 수 없게 하는 주된 요인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문과 예술이 독자성을 인정받게 된 과정에는 각 세계 지닌 내재적 가치를 인식하고, 고유 체험을 명료화하며, 각 세계의 본질적 특성과 발달 양상 등을 개념화하는 심도 있는 이론 연구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기초로 교육의 세계가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해 교육학은 어떤 관점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참고문헌
김문환 편(1989). 『미학의 이해』. 서울: 문예출판사.
박영욱(2006). 대중문화, 예술과 일상의 구분 지우기. 철학아카데미 편. 『철학, 예술을 읽다』. 서울: 동녘.
양미경(2004). 학교의 기능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다중성과 모호성. 『교육학연구』, 42(2), 133-162. 한국교육학회.
양미경(2008). 修道界의 개념적 특성의 명료화를 위한 검토. 한국교육원리학회 하계 웍샵 발표 원고(미간행).
오병남(2003). 『미학강의』.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덕희(2005). 『역사를 창조한 천재들의 불화사건』. 서울: 동아시아.
이주영(2007). 『예술론 특강』. 서울: 미술문화.
이홍우(1991). 『교육의 개념』. 서울: 문음사.
장상호(1997). 『학문과 교육(상): 학문이란 무엇인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장상호(2005). 『학문과 교육(중Ⅰ): 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조광제(2006). 예술 개념, 움직이는 미로. 철학아카데미 편. 『철학, 예술을 읽다』. 서울: 동녘.
최성욱(2005). 교육학 패러다임의 전환: 기능주의에서 내재주의로. 『교육원리연구』, 10(2), 71-136. 한국교육원리학회.
薺籐孝(2004/2006). Idea revolution. Diamond Inc. (송성민 역. 『아이디어 혁명』. 서울: 황금부엉이.)
薺籐孝(2005/2006). Tensai ni naru shunkan. Seishun publishing co.,ltd. (이규원 역. 『도약의 순간』. 서울: 가문비.)
宮永博史(2006/2007). Seikosha no zettaihousoku Serendipity. (김정환 역. 『세렌디피티의 법칙』. 서울: 북북서.)
Bayles, D., & Orland, T. (1993/2006). Art & fear: Observations On the Perils (and Rewards) of Artmaking. Oregon: Image Continuum Press. (임경아 역. 『예술가여, 무엇이 두려운가!』. 서울: 루비박스.)
Bernstein, R. J. (1983/1996). Beyond objectivism and relativism: Science, hermeneutics, and praxis.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정창호․황설중․이병철 공역. 『객관주의와 상대주의를 넘어서: 과학과 해석학 그리고 실천』. 서울: 보광재.)
Beveridge, W. B. I. (1980/1987). Seeds of discovery. Heinemann Educational Books. (송인명 역. 『발견과 창조』. 서울: 교학사.)
Csikszentmihalyi, M. (1996/2003).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Collins Publishers. (노혜숙 역. 『창의성의 즐거움』. 서울: 북로드.)
Danto, A. (1997/2004). After the End of Art. Princeton University Press. (이성훈․김광우 공역. 『예술의 종말 이후』. 서울: 미술문화.)
Danto, A. (2004/2007). The Artworld. In P. Lamarque, & S. H. Olsen, (Eds.). Aesthetics and the philosophy of art. Blackwell Publishing Ltd. (김지원 역. 『예술과 미학』. 서울: 종문화사.)
Dewey, J. (1933). How we think. Chicago: Henry Regnery Company.
Dreyfus, H. L., & Rabinov, P. (1983). Michel Foucault: beyond structuralism and hermeneutic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Eisner, E. E. (2002/2007). The Arts and the creation of mind. New York: The Geogia O'Keeffe foundation. (강현석 외 공역. 『예술교육론 - 미술교과의 재발견』.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Feyerabend, P. (1975). Against method: Outline of an anarchistic theory of knowledge. London: NLB.
Ginestier, P. (1968/1983). La Pensee de Bachelard. Paris: Bordas. (김현수 역. 『바슐라르의 사상』. 서울: 금문당출판사.)
Kuhn, T. S. (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2nd ed.).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akeshott, M. (1933). Experience anad its mode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olanyi, M. (1958). Personal knowledge: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olanyi, M. (1974). Scientific thought and social reality: Essays by Michael Polanyi. In F. Schwartz(Ed.). Psychological Issues. Vol. 8, Monograph.
Read, H. (1958/2007). Education through art. New York: Pantheon books. (황향숙 외 공역. 『예술을 통한 교육』. 서울: 학지사.)
Root-Bernstein, R., & Root-Bernstein, M. (1999/2007). Spark of genius. (박종성 역. 『생각의 탄생』. 서울: 에코의 서재.)
Schutz, A. (1973). Collected papers Ⅰ: The problem of social reality.(edited and introduced by M. Natanson). The Hague: Martinus Nijhoff.
Shiller, J. C. F. (1795/1995). Über die ästhetische erziehung des menschen in einer reihe von rriefen. (안인희 역.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편지』. 서울: 청하.)
Shiner, L. (2001/2007). The invention of ar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김정란 역. 『예술의 탄생』. 서울: 들녘.)
Szent-Györgyi, A. (1972). Dionysians and Apollonians. Science, vol. 176, 966.
Zankl, H. (2003/2006). Zankl: Fälscher, Schwindler, Scharlatane. Wiley-VCH Verlag GmbH & Co. KGaA. (도복선․김현정 공역. 『과학의 사기꾼』. 서울: 시아출판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