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

 1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1
 2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2
 3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3
 4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4
 5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5
 6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6
 7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7
 8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8
 9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9
 10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10
 11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11
 12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12
 13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13
 14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14
 15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15
 16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16
 17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17
 18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18
 19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19
 20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쟁사] 일본의 중국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일본의 침략
2. 국공합작의 배경

Ⅱ 본론 : 중일전쟁과 국공합작
1. 중일전쟁의 전개와 항일민족통일전선의 성립(1937-38년)
(1) 중일전쟁의 시작 : 루거우차오(노구교蘆溝橋)사건
(2) 중국의 대응 - 항일민족통일전선의 성립(2차 국공합작의 성립)
(3) 중일전쟁의 전개
① 중․일 양국의 당시 병력 상황
② 세계의 정세
③ 전쟁 초기
④ 난징대학살
2. 전선의 교착상태와 국공합작의 균열(1939년-42년)
(1) 전선의 교착
(2) 중국의 장기전 전략
(3) 국공합작의 균열
① 공산당의 성장
② 국민당의 탄압 - 제 1차 반공공세
③ 공산당의 대응
④ 제 2차 반공공세
3. 중일전쟁당시의 지역구분(1938~1942년)
(1) 윤함구
(2) 대후방
(3) 해방구
4. 태평양전쟁과 일본의 패망(43-45년)
Ⅲ 결론
1. 항일전쟁 승리 이후
(1) 종전 전후의 국내외 정세
(2) 전후 국내정국과 공산당의 방침
① 공산당의 ‘연합정부론’
② 전쟁 말기의 내전 움직임
2. 중일전쟁의 의의
본문내용
Ⅰ. 서론
1. 일본의 침략
일본의 중국 침략의 배경에는 두 가지 요소를 꼽을 수 있다. 첫 번째는 일본의 대중국 외교정책의 변화와 두 번째는 세계경제상황의 변화에 따른 일본 경제의 위기상황이다. 일본의 대중국 정책은 '구미협조외교' '경제외교' '중국내정불간섭정책'을 근간으로 하는 시데하라 외교에서 '자주외교' '적극외교' '중국내정간섭정책' 의 다나카 외교로의 변화에 기인한다. 다나카 외교를 만주사변을 계기로 본격화된 대륙의 침략과정의 출발점으로 볼 수 있다. 만주사변의 전단계라고 할 수 있는 제남사변, 장작림 암살사건 역시 다나카 외교의 중국내정간섭정책에서 기인한 것이다.
일본의 외교변화에도 영향을 준 요인이기도 하지만 소비에트가 대중국 지원에 나섬에 따라 만주에서의 일본의 경제적 이득에 대한 위기의식은 일본의 중국침략 의지를 더욱 확고히 하게 했다. 또한 1929년 10월 세계공황으로 일본은 1930년 봄부터 불황에 빠진다. 실업자가 300만에 육박하고 노동쟁의가 끊임없이 일어나게 되며 동시에 우익운동이 활발해지기 시작한다. 군부 내에서는 만주(東三省)와 내몽고의 전역을 식민지화하여 국내모순을 밖으로 전가하고 대(對)소비에트 전을 준비하려는 「만몽문제 무력해결」의 요구가 대두되게 되었다.
일본의 만주 침략의 첫 신호탄은 제남사변(濟南事變)으로 시작한다. 1928년 5월, 북벌군이 산동에 들어서자, 일본군은 거류민 보호를 구실로 산동으로 출병하였는데, 이 일본군과 제남에 입성한 북벌군이 5월 3일 충돌하였다. 이는 일본군이 북벌에 대해 군사간섭을 한 것으로 일본이 만주를 보호할 목적에서 벌인 사건이고, 이 때 장개석은 무저항주의를 내세우며 일본군과의 정면대결을 회피하며 우회하여 북벌 수행하였다.
1928년 6월에 들어 북벌군에 쫓겨 장작림(張作霖)은 북경에서 철수하여 만주로 들어오는데 장작림이 탄 특별열차를 일본이 폭파시켜 장작림을 제거한다. 장작림이 친일 군벌 임에도 일본이 제거한 이유는 장작림은 일본의 요구대로 움직이지 않았으며, 장작림 폭살로 봉천군이 일본군과 무력충돌을 할 경우 이를 빌미로 만주전역을 점령할 예정이었으나 봉천군이 대응하지 않아 계획은 무산되었다. 장작림의 아들 장학량(張學良)은 예상외로 남경국민정부에 귀순하여 동북변방총사령관이 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구태훈, 『일본제국, 무너지다』, 재팬리서치21, 2010.
노신 외 著 임대근 옮김,『격동의 100년 : 중국』, 일빛, 2005.
서진영, 『중국혁명사』, 한울, 2007.
아사히신문 취재반, 『동아시아를 만든 열 가지 사건』, 창비, 2008.
아마코 사토시 著, 임상범 譯, 『중국인민공화국 50년사』, 일조각, 2003.
우에하라 카즈요시, 『동아시아 근현대사』, 옛오늘, 2000.
아이리스 장, 『난징 대학살』, 끌리오, 1999.
중국사연구회, 『중국 혁명의 전개 과정』, 거름, 1985.
심은식, 『한국인의 눈으로 본 태평양전쟁 1』, 가람기획, 2006


논문

신은주, 「西安事變의 平和的 解決에 관한 一硏究」,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이병주, 「국권장악 책략으로서의 중국공산당의 통일전선정책연구(1937-1949)」, 『전략연 구 25호』, 한국 전략문제연구소.
이홍길, 「제 2차 국공합작과 영도권경쟁」, 『역사학연구』, 전남사학회, 1999.
한희정, 「서안사변의 배경에 관한 연구」, 서강대 석사논문, 2002.
정현주, 「손문주의자 송경령의 정치적 발언과 활동」,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최은진, 「一二·九運動期 學生運動에 關한 一考察」,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윤휘탁, 「항전시기의 화북과 동북, 항일전쟁과 투쟁환경의 비교고찰-팔로군과 동북항일연 군의 상이한 운명과 관련하여-」, 『중국사연구 22호』, 중국사학회, 2003
배경한, 「중일전쟁 시기 중국에서의 동아연맹운동과 왕정위정권」, 『중국근현대사연구 21호』, 한국중국근현대사학회, 2004
문명기, 「중일전쟁 초기(1937-39) 왕정위파의 화평운동과 화평이론」, 『동양사학연구 제 71호』, 동양사학회, 2000
문명기, 「비판의 무기와 무기의 비판-왕정위정권과 아시아주의에 관한 대화-」『중국현대 사연구 제11호』, 한국중국근현대사학회, 2001
김지환, 「사학부: 중일전쟁기 중경국민정부의 물가통제정책」, 『중국학보 제62호』, 한국 중국학회, 201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