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정책론] 소련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체결 요인

 1  [외교정책론] 소련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체결 요인-1
 2  [외교정책론] 소련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체결 요인-2
 3  [외교정책론] 소련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체결 요인-3
 4  [외교정책론] 소련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체결 요인-4
 5  [외교정책론] 소련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체결 요인-5
 6  [외교정책론] 소련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체결 요인-6
 7  [외교정책론] 소련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체결 요인-7
 8  [외교정책론] 소련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체결 요인-8
 9  [외교정책론] 소련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체결 요인-9
 10  [외교정책론] 소련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체결 요인-10
 11  [외교정책론] 소련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체결 요인-11
 12  [외교정책론] 소련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체결 요인-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외교정책론] 소련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체결 요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제 2장. 고르바초프의 온건한 정치적 성향과
연방정부의 핵 통제력 강화
제 3장. 소련의 경제적 위기 타개
제 4장. 미국 동등한 핵력 추구
제 5장. 결론
본문내용
소련의 STARTⅠ 체결 요인을 연구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첫째, STARTⅠ는 핵무기 ‘제한’이 아니라 ‘감축’이라는 양상을 띄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핵무기 감축의 첫 번째 협정이기 때문에 협약 자체의 의미가 크다. 둘째, 소련의 STARTⅠ체결은 핵 보유국이 어떤 상황에서 핵감축을 감행하는지 예측하는 잣대가 될 수 있다. 핵무기 대국이었던 소련의 핵무기 감축원인을 통해 핵 보유국이 당시 소련과 유사한 상황이 되면 핵감축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STARTⅠ조약의 체결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STARTⅠ을 집중적으로 다룬 한국에서의 연구와 미국에서의 연구를 주로 검토한다. 검토한 것을 바탕으로 이슈별로 접근하여 정치적, 경제적, 안보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권기수, “고르바초프의 개혁정책과 양극체제의 붕괴”『慶山大學校』Vol.13 No.1, 1995.
-김강녕, “미·러 안보협력관계의 현황과 전망”, 『한국동북아농촌』,2002.
-김관봉, “미·소 전략무기통제협상의 문제점 및 전망”,『慶熙大學校』,1986.
-김광린, “고르바초프의 신사고 외교독트린 관한 연구”,『한국정치학회보』, vol.29, No.1, 1995.
-김덕주, “러시아의 신핵정책 연구”, KRIS, 1999.
-김용덕, “소련 핵전략의 변천과 결정요인”, 『國防大學院』,1994.
-김정기, “Changes in the Soviet foreign policy system under Gorbachev”, 『슬라브학보』, Vol. 7, NO. 1, 1992.
-朴鎭龜, "戰略武器 減縮協定의 체결 意義와 展望" ,『韓國國防硏究院』1993.
-延賢植, “러시아 外交·軍事政策의 變化;實態와 展望”, 『韓國國防硏究院』1993.
-원일형, “미‧소의 핵감축선언과 세계 질서”, 『민족민주운동연구소』1991.
-유광철, “외교 현장에서 만나는 "군축과 비확산의 세계",『평민사』2005.
-이수형, “미국과 러시아의 군비통제와 군축 : 전략무기감축조약(START)을 중심으로”, 『외교안보연구원』, 2009.
-이용호, “미국과 구소련간의 핵무기 통제와 그 한계”,『영남대학교출판부』, 1992.
-趙勇範, "戰略武器 감축회담의 背景과 展望", 국방부, 1982.
-최성권, “러시아 국방개혁과 군수산업의 역할”, 『아태 쟁점과 연구』,Vol.1 No.3, 2006.
-한창식, “냉전시 미,러의 핵전략.” 『국가전략』, 2010.
-아르바토프, “전략무기감축협정의 장·단점 및 중립성”,『國際學術院』, 1990.
-Abel Agenbegyan, CIA, The Challenge: Economics of Perestroika(New York, Hutchinson, 1999)
-CIA, "Gorbachev’s Economic Programs: The Challenges Ahead" , 1999.
-Celeste A. Wallander, "Lost & Found: Gorbachev's New thinking" ,『The Washington Quarterly』, 2001.
-Daniel Galingeart, "Soviet nuclear policy under Gorbachev-A policy of disarmament", 1991.
-NIE, "The Soviet System in Crisis: Prospects for the Next two years", 1989.
-Lisa A. Baglione, “Finishing START and Achieving Unilateral Reductions: Leadership and Arms Control at the End of the Cold War”,『Sage publications, Ltd.』, 2011.


-강봉구, 『현대러시아 대외정책의 이해 : 대외정책노선 형성과정』,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9.
-최종기, 『러시아 외교정책』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Jenniffer G Mathers, The Russian nuclear shield from Stalin to Yeltsin New York: St. Martin's Press 2000.
-Kartcher M. Kerry, Negotiating START, Transaction Publishers, 1992.
-Vladislav M. Zubok, A failed empire : the soviet union in the cold war from Stalin to Gorbachev,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3.


네이버(
www.naver.com
)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