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

 1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1
 2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2
 3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3
 4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4
 5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5
 6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6
 7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7
 8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8
 9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9
 10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10
 11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11
 12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12
 13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목 차 ◈

Ⅰ. 들어가며

Ⅱ. 돌의 원형적 의미
1. 견고함의 이미지
2. 짐 ․ 과제의 의미지
3. 폐허 ․ 몰락의 이미지
4. 남성 상징으로서의 이미지

Ⅲ.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적 의미
1. 향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적 의미
가. 찬기파랑가 - 충담사-
나. 헌화가
2. 한시에 나타난 ‘돌’의 상징적 의미
가. 이색
나. 김종직
다. 최치원
라. 남이장군
3. 고려속요에 나타난 ‘돌’의 상징적 의미
가. 정석가
나. 청산별곡
다. 서경별곡
4 경기체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적 의미
가. 화전별곡 -김구-
5. 시조에 나타난 ‘돌’의 상징적 의미
가. 오우가 -윤선도-
나. 삼동에 베옷 입고 -조식-
6. 가사에 나타난 ‘돌’의 상징적 의미
가. 입암별곡 -이인로-
나. 면앙정곡 -송순-

Ⅳ. 나가며

이상으로 우리의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을 국한된 자료에서나마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를 종합하여 보면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에 관한 몇 가지 의미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우선 자연적 소재차원에서의 돌이다. 돌은 자연의 일부분이라는 점에서 고전시가에서 단순히 시의 배경이나 소재로 나타나는 것들을 상징성을 지니지 않은 작품으로 분류하려 하였다. 그리고 할 걸음 더 나아가 돌의 원형적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생각할 때 무엇보다도 단단하며 오랫동안 변함이 없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근거하여 상징성을 지니는 작품으로 분류하여 의미를 분석하였다. 즉 영원함, 강함의 성격을 지닌 돌의 형상은 시를 통해 보편적인 상징성을 지닌 형상을 통해서 드러나기도 하였다. 대부분의 고전작품에서 돌은 어떤 영원함, 견고함, 변하지 않는 것들을 상징하여 왔다. 이러한 상징은 중국을 비롯한 우리나라의 신화적 상징과 그 맥락을 함께 한다. 이런 영원함 , 강함의 성질로 인해 돌은 주술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그 근거로써 마을의 수호석이나 고인돌, 천전리 각석과 같은 유적에서 찾으려 하였다. 또, 돌은 그 주술성에 따라 고대 풍요를 기원하는데 연유되어 남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우리는 이 상징성의 타당함을 남근석에서 찾으려 해보았고 그 가능성은 충분하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1. 구사회,《헌화가의 '자포암호(紫布岩乎)'와 성기신앙》
2. 김선자,《중국변형신화전설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3. 박경우, 유정일《입암별곡의 공간론적 배경과 공간적 의미》,(한국어문학연구학회,2005)
4. 유경환,《정석가의 원형적 상징성》,(한국국어교육학회 ,2003)
5. 임은주,《돌들의 언어 전후 독일 현대시에 나타난 돌 모티브의 언어적 상징》
6. 조규익,《고전시가의 변이와 지속》,(학고방, 2006)
7. 진창영,《안민가, 찬기파랑가와 노장사상》,(위덕대학교 신라학연구소,2003)
하고 싶은 말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에 관하여 조사 했습니다.

목차 및 미리보기 참조 해주세요.^^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