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1  한국사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1
 2  한국사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2
 3  한국사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3
 4  한국사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4
 5  한국사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5
 6  한국사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6
 7  한국사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1.대동법의 시행
2.상업.수공업.광업의 변모
3.금속 화폐제도의 시행
4.중개무역의 상행

3.금속 화폐제도의 시행
1)금속화폐 시행론
15세기 후반에 유통수단으로는 널리 사용된 것은 布貨였다. 布貨의 소재는 처음에 배가 중심을 이루었으나 15세기 후반 이후로는 목화재배가 보급으로 면포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16세기는 동전의 결여만 있었을뿐 금속화폐가 충분히 유통될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었다. 공양왕 3(1391년)에는 송의 회자와 원의 지원보초를 모방한 한국 최초의 지폐인 楮貨를 인조, 통용하게 하였는데, 이것은 저지 표면에 화폐가치만을 表章한 것이었다. 저화에는 주지와 상지의 두 종류가 있었는데, 그 교환가치는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의하면 저화 1장에 쌀 한 되, 저화 40장에 정포(正布) 1필로 되어 있다. 《경국대전》에는 저화가 國幣로 기록되어 있으나 續大典에는 저화가 폐지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엽에는 이 저화는 이미 자취를 감춘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시대에서는, 1401년(태종 1)에 저화가 인조(印造)되어 법화(法貨)로 지정되었으며, 세종 5년에는 당(唐)나라의 개원통보(開元通寶)를 모방한 조선통보(朝鮮通寶)가 주조되었고, 64년(세조 9)에는 節幣가 주조되었으나 일반적인 통용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하고 싶은 말
한국사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에 관하여 조사 했습니다.

목차 및 미리보기 참조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