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

 1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1
 2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2
 3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3
 4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4
 5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5
 6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6
 7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7
 8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8
 9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9
 10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10
 11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11
 12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12
 13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13
 14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미문학] 허밍웨이의 `프란시스 매콤버의 짧은 행복(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작품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 소개 및 시대 배경
2. 도입부 및 줄거리
3. 캐릭터 분석
4. 주제
5. 헤밍웨이의 문체
6. 토론주제

본문내용
잃어버린 세대는 미국 작가들과 달리 경제적 위기를 이유로 새로운 인력의 유입을 거부하는 사회체제에 대해 절망을 느끼고 있다. 이들은 선배 세대에게는 능력 발휘의 기회를 빼앗겼다는 상실감과 동료 및 후배 세대와는 생존을 건 경쟁을 벌여야 한다는 중압감으로 전쟁 후유증에 비유할 만한 정신적 공황을 겪고 있다. 또한 이 세대는 자신들이 물려받은 가치관이 더 이상 전후세대와 연결되지 못했고, 하딩 대통령의 '정상 복귀' 정책 아래에서 절망적으로 편협하고, 물질주의에 물들고, 정서적으로 황폐해 보이는 미국이라는 나라에 정신적 소외를 느끼기 때문에 길을 잃은 것이다.
잃어버린 세대의 주역들을 말하자면, 헤밍웨이, 로브, 더프 해들리, 스튜어트, 그리고 구스리를 들 수 있다. 더 넓게는 크레인, 커밍스, 피츠제럴드 패소스 등도 이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앞서 지칭한 작가들은 대부분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여 최소한 정신적인 외상을 입었으며, 그들 중에는 육체적으로 전상을 입은 사람도 있었다. 잃어버린 세대는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미국에 돌아왔을 때 정서적 불모지인 미국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면모를 보였다. 그들은 미국 사회에서 정신적 고립을 느꼈으며 예술 활동이나 작가생활의 정신적 터전을 잃어버린 상태였다.
참고문헌
김유조, 『어네스트 헤밍웨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1.
김석환,『헤밍웨이의 작품에 나타난 생과 사의 의미』, 조선대학교 대학원, 1984.
박문자,『헤밍웨이의 작품 속에 나타난 죽음 의식』,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05.
소수만,『어니스트 헤밍웨이』, 동인, 2006.
유공숙, 헤밍웨이 단편소설에 나타난 불안과 그 극복, 한국학술정보㈜, 2010.
윤동곤, 『헤밍웨이 여성읽기』, 한국학술정보㈜, 2010.
이길구, 「헤밍웨이 작품 속에 나타난 여성상」, 『영어영문학 연구』제 48권 1호, 2006.
이미라, 『누가 헤밍웨이 남성을 두려워하는가?』, 동인, 2006.
조일현, 「헤밍웨이의 아프리카: 미국적 이념의 재생 공간」, 『영어영문학 연구』 제 47권 3호, 2005.
한국영어영문학회, 『헤밍웨이』, 민음사, 1979.

Baker, Carlos, Hemingway: The Writer as Artist, Princeton: Princeton UP, 1973.
Hemingway, Ernest, The Short,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