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

 1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1
 2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2
 3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3
 4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4
 5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5
 6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6
 7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7
 8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8
 9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9
 10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10
 11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11
 12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12
 13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13
 14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글로벌경영] 평화자동차 해외직접투자(FDI)사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선정동기
2. 기업소개
3. 진출환경
4. 진출배경

Ⅱ. 본론
1. 해외직접투자(FDI) 과정
2. 해외직접투자(FDI) 성과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 선정동기

최근 긴장관계가 고조됨에 따라 남북한 간의 경협은 사실상 ‘올 스톱’상태이다. 지난 정부의 많은 지원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명박 정부는 대북 정책에 대해 저조한 성과를 보이고 있어 보수 진영의 비판을 많이 받고 있다. 이러한 비판을 고려하여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대북 정책이 본격적으로 착수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체제의 개방은 선군 정치에 위협이 된다고 생각한 북한 정부가 이를 쉽게 수용할리 없었고, 북한의 반발로 인해 금강산 관광이 중단되었으며, 개성공단 동행 제한 등의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현재 개성공단은 가동 기업수가 117개에 이르며, 북측 근로자 수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결국 개성공단을 중심으로 한 남북경협은 남북한 정부 모두가 함부로 깰 수 없는 높은 상호 의존성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극단적인 남북대립을 완화 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대북사업을 승인 받은 55개 민간사업자와 개성공단 내에서 사업을 승인 받은 200여개의 민간기업 중에서도 특별히 주목 받는 민간기업이 있는데, 평양 인근 남포시에 위치한 (주)평화자동차 이다. 개성공단보다 약 7년 앞서 남북경협을 시작한 평화자동차는 개성공단이 위기에 직명하고 있던 2009년 중반, 안정적인 성장과 더불어 50만불의 영업수익을 서울 본사에 송금하여 영업이익에 큰 몫을 하였다. 평화자동차는 자동차사업이외에도 호텔사업과 주유소사업, 상업광고 개척, 자동차 판매시장 등으로 사업영역을 크게 확대하고 있으며, 북한 정부의 관심과 남한 정부의 지원 아래 사회주의 체제의 북한 시장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조는 대북 사업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 준 사례로써 평화자동차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경색된 남북관계 속에서도 꾸준한 발전을 이루고 있는 평화 자동차는 향후 또 다른 민간 기업의 북한 진출에 도움이 될 것이라 보고, 북한 진출 배경과 과정, 그리고 이루어 낸 성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 기업이 해외로 진출하는 데 있어 유럽, 동아시아, 아메리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와 가장 가까운 북한 역시 그 대상의 범주에 들어갈 수 있음을 증명코자 한다.

참고문헌


평화자동차 홈페이지 http://www.pmcgroup.co.kr/kor/
이상만,「통일경제론-북한경제와 남북경제통합」, 형설출판사, 1994
박재영,「국제정치패러다임-현실주의·자유주의·구조주의」, 법문사, 1996
박승규, 「최신 북한이해」, 학문사, 2000
김계동,「남북한 체제통합론」, 명인문화사, 2007
이용필 외,「남북한 통합론」, 서울:인간사랑, 1992
최인정, “북한의 자동차 산업”, 자동차 백과사전, 1999
통일부,「2009년도 남북관계 추진현황」
「중앙일보」2008.12.23
「문화일보」2000.9.28
「로동신문」1998.5.3


박병철·박동국, “남북관계 변화에 따른 대북경협의 방향과 과제”, 「평화학연구」 제 10권 1호 (2009)
양문수, “남북경협의 현황과 대내외적 여건”,「제3기 남북경협 법률아카데미 자료집」,남북경협국민운도본부, 2009
이석기, “남북경협 15년의 평가와 과제”, 산업경제분석2006
임성택, “경협관견 남한법제 개관”,「제3기 남북경협 법률아카데미 자료집」, 남북경협국민운동본부, 2009


http://blog.daum.net/ferrari5/7538626
http://kaplus.co.kr/board/bbs/board.php?bo_table=faq&wr_id=111
http://www.dailynk.com/korean/read.php?cataId=nk09000&num=37347
http://careview.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4/06/2011040601229.html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334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761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101276361
http://blog.daum.net/upf0912/8932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