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치료(Dance Therapy)

 1  무용치료(Dance Therapy)-1
 2  무용치료(Dance Therapy)-2
 3  무용치료(Dance Therapy)-3
 4  무용치료(Dance Therapy)-4
 5  무용치료(Dance Therapy)-5
 6  무용치료(Dance Therapy)-6
 7  무용치료(Dance Therapy)-7
 8  무용치료(Dance Therapy)-8
 9  무용치료(Dance Therapy)-9
 10  무용치료(Dance Therapy)-10
 11  무용치료(Dance Therapy)-11
 12  무용치료(Dance Therapy)-12
 13  무용치료(Dance Therapy)-13
 14  무용치료(Dance Therapy)-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무용치료(Dance Therapy)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무용치료란 무엇인가?
2.무용치료의 목적
3.무용치료 적용
4.치료자의 역할
5.무용치료 과정
6.정신과 병동에서의 무용치료
7.무용치료 기법
8.진행과정
9.사례


본문내용
치료자의 역할
동작의 정확함이나 무용의 형태에 얽매이지 않고 미적 결과로 판단하지 않는다.

과거에 무용을 배웠거나 배우지 않았거나 하는 사실은 중요하지 않다고 설명하여 대상자를 안심시켜야 함

대상자의 정신 상태가 동작 형태를 통해 나타나기 때문에 치료자는 대상자의 동작을 관찰하고 분석하고 치료함

치료자는 집단의 한 구성원으로, 감정이입의 촉매자로, 집단을 결합하는 힘으로 기능해야 함

사례 1 : 인터넷 신문 - 아동 심리치료에 무용치료 효과적
사례 2 : 인터넷 신문 - [현장취재] 무용치료 센터를 방문해 보았습니다.
사례 3 : TV 프로그램 Let me in season 1 - 1회 처키녀 최영희
사례 4 : SBS 스페셜 - 무용치료 “황홀한 소통 춤 치유”
사례 5 : 인터넷 신문 - “팔도 못가누던 아이들 기적의 무대… 이보다 아름다운 춤 봤나요?”


**무용치료는 미국과 한국 모두에서 정신분열환자 등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이들에게 우선적으로 적용되었다.

**아동 심리치료 분야에서도 발달장애나 자폐 등 정서장애를 겪고 있는 아동에게 효과가 높다.

**아동학대로 문제를 지니게 된 아이들에게서는 DMT 후에 근육 조절, 균형 감각, 공간인식 등 중요한 기능이 향상되는 것이 발견된다.
(DMT : Dance movement therapy)



필로스장애인무용단은 2007년 3월21일 창단

지체장애 및 발달장애 다운증후군 아이들을 대상으로 장애아동 무용체육교실을 개설. 음악에 맞춰 무용동작을 하는 가운데 아이들의 표정이 눈에 띄게 밝아지고 자폐 발달장애 증세가 완화되는 모습
….
“다운증후군, 자폐 등 지적장애 때문에 일부 동작이 원활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아이들은 그 누구보다 무용과 무대에 대한 열의와 집중도가 높습니다.”
…..
도무지 연습장에 들어서지 않거나 소리를 지르는 아이도 있었다.
……
연습실 밖을 맴돌던 아이들이 자청해 연습실로 들어섰고, 누가 시키지 않아도 다른 친구들의 동작을 따라하며 놀라운 변화를 보였다.
…..
축 처진 어깨와 팔을 똑바로 들어올리거나 노래라곤 불러본 적이 없던 아이가 무용의 배경음악으로 친숙해진 멜로디를 따라 흥얼거렸다.

**지난 25일 방송된 ‘SBS 스페셜 - 황홀한 소통 춤 치유’에서는 춤이 지닌 치유의 능력과 몸의 언어가 이루어내는 소통의 가능성을 조명했다.

**지체장애가 있는 7살 성웅이는 말을 거의 알아들을 수 없게 했고 밥 한 끼 먹이는 것조차 힘겨울 정도로 산만함의 극치를 달리고 있었다. 하지만 무용동작 치료실에 다니며 성웅이는 심리적으로 이해 받을 수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된 후 변화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치료 1개월 후 성웅이는 언어표현을 이해하는 능력이 높아졌고 노래 한 곡을 다 부를 수 있게 되었으며 상대방과 눈을 보며 대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놀라운 발전을 보였다. 치료사는 성웅이의 산만한 행동에 대해 “말이 아닌 몸으로 이야기 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유방암 3기 진단과 치료 과정을 겪으며 아이들을 돌보지 못한 죄책감과 질병의 고통에 시달리던 오정숙(47)씨는 타말파 치료실을 다니며 자기 자신과 대화하기 시작했다. 속마음을 표현하지 못한 채 겉으로는 웃음 지었던 자신을 인정하며 춤을 통해 자신의 솔직한 내면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