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규칙][음운규칙과 경음화][음운규칙과 모음조화][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움라우트][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경음화,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분석

 1  [음운규칙][음운규칙과 경음화][음운규칙과 모음조화][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움라우트][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경음화,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분석-1
 2  [음운규칙][음운규칙과 경음화][음운규칙과 모음조화][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움라우트][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경음화,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분석-2
 3  [음운규칙][음운규칙과 경음화][음운규칙과 모음조화][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움라우트][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경음화,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분석-3
 4  [음운규칙][음운규칙과 경음화][음운규칙과 모음조화][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움라우트][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경음화,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분석-4
 5  [음운규칙][음운규칙과 경음화][음운규칙과 모음조화][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움라우트][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경음화,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분석-5
 6  [음운규칙][음운규칙과 경음화][음운규칙과 모음조화][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움라우트][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경음화,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분석-6
 7  [음운규칙][음운규칙과 경음화][음운규칙과 모음조화][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움라우트][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경음화,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분석-7
 8  [음운규칙][음운규칙과 경음화][음운규칙과 모음조화][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움라우트][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경음화,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분석-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음운규칙][음운규칙과 경음화][음운규칙과 모음조화][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움라우트][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경음화,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음운규칙과 경음화
1. 경음화 현상으로 본 견해
2. 사이시옷 첨가로 본 견해
1) 사이시옷의 역할
2) 복합명사의 사이시옷 연구와 문제점

Ⅲ.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Ⅳ.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1. exploitation of informational resources
2. guaranteeing interpretability
3. denoting a relevant category

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자립분절음운론이 등장한 직후, 억양의 생성에 대한 명시적인 모델을 구축하려는 노력이 생성음운론 내에서 계속되어 왔다. Liberman(1975)에서 처음 시도된 생성음운론적 억양 분석은 그 뒤에 여러 학자들에 의해 발전을 거듭하여 Pierrehumbert(1987)에 이르러 비로소 생성음운론의 목표에 가장 가까운 이론이 되어 현재까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Selkirk(1984: 252)에 따르면 생성음운론에서의 억양 곡선에 대한 이론은 첫째, 한 언어의 억양 곡선을 음운론적으로 규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둘째, 억양 곡선들의 음성적 해석, 즉 음운론적인 억양 곡선과 음성학적인 Fo곡선 사이의 관계를 규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하는데 이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로 이 억양음운론이다.




≪ … 중 략 … ≫




Ⅱ. 음운규칙과 경음화

1. 경음화 현상으로 본 견해

Martin(1954)는 경음을 kk = /kq/, pp=/pq/로 기호화하고 국어에는 경음화(fortition)과 강화(reinforcement)의 두 경음화가 있다 하였다. ‘먹고’(mekko)는 사실은 ‘me … q + k … o(… = 도치)’로 이들은 도치에 의해 ‘mekqo’가 되어 경음화되는 단순동화이며, 강화는 /q/음이 통사지표(syntactic marker)와 파생접사(derivative infix)로 사용되어 첨가되는 현상으로 ‘어젯밤’, ‘뒤집’에서 나타나는 경음화 현상을 말한다. 이 견해는 김민수(1964)에 의해 경음화는 이화로 강화는 동화로 불리었으며 허웅(1965)에서는 이 둘을 다 합쳐 이화로 보았다.
참고문헌
김동례(1998), 현대국어의 경음화 현상 : 그 음성학적 특징에 입각한 음운규칙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김현(2003), 음운규칙과 형태음운규칙의 구분에 대하여, 한국어교육학회
박기덕(2000), 한국어의 음운규칙,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엄태수(1999), 한국어의 음운규칙 연구 국학자료원
오종갑(1978), 음운규칙의 통합과 모음조화의 파괴, 한국어문학회
이문규(2009), 음운 규칙의 공시성과 통시성 : 진행 중인 음운 변화의 기술 문제를 중심으로, 한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