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

 1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1
 2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2
 3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3
 4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4
 5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5
 6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6
 7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7
 8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8
 9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9
 10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10
 11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11
 12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Ⅲ.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표기법
1. 적용범위
2. 기술의 전거 순서
3. 각 사항별 으뜸전거
1) 서명저자 표시사항
2) 판사항
3) 발행사항
4) 형태사항
5) 총서명사항
6) 주기사항
4. 언어, 문자
5. 숫자
6. 약어와 약자
7. 오자, 오식, 탈자
8. 띄어쓰기

Ⅳ.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Ⅴ.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Ⅵ.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1. 기본기술요소(Basic descriptive element)
2. 주제기술요소(Subject description)
1) 분류기호
2) 주제명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미국 의회도서관의 기계가독형 목록 개발 이후 각 국의 도서관은 LC MARCⅡ와 ISO 2709를 기반으로 자국의 특성을 고려한 MARC 포맷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MARC 포맷의 확산은 국가 서지기관간 레코드 교환이나 상호호환의 필요성을 증대시키면서 계속적으로 도서관의 서지 레코드 포맷으로 발전되고 있다.
최초의 기계가독형 목록은 1966년 10월 미국 의회도서관에서 개발한 MARC Pilot Project에서 비롯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지역 컴퓨터 이용을 위한 배포와 기계가독레코드 생산의 표준화된 포맷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수행되었다. 타당성 검토를 통해 포맷을 갱신한 MARC II는 지난 30여 년 동안 세계 각 국에서 자체 개발한 MARC 포맷의 기본 모델이 되었다.
LC가 MARC Pilot Project를 수행하던 시기에 영국의 BNB(British National Bibliography)는 국가 서지생산을 위한 기계가독레코드 기술의 가능성에 관한 조사를 시작했다.




≪ … 중 략 … ≫




Ⅱ.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DTD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상 문헌을 분석하여 그 구조를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논리적인 구조를 추출해내는 이러한 과정에는 추상화 작업이 수반되며 추상화의 정도가 강할수록 DTD는 범용성이 커지게 된다. 논리적 구성요소의 추출은 상위요소에서 하위요소로의 진행이 바람직하다. 구성요소들이 결정되면 각각에 대해 적합한 SGML의 구문적 성분, 즉 요소(element), 속성(attribute), 엔티티(entity) 등을 할당하고 그에 대한 이름이라고 할 수 있는 일반식별기호(generic identifier)를 부여하게 된다. 이렇게 추출된 논리적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결정하고 문헌의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 강순애(2007), 한국 고문헌 정리에 있어서 고서용 한국문헌 자동화목록기술규칙 및 형식의 적용과 실제, 한국고전적보존협의회
○ 강숙희(2008),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 표목필드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 김수형 외 1명(2001),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KORMARC)의 XML 변환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 도태현(2002),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 관련 규칙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 사공철 외 3명(1992),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에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 이경호(1999), 한국문헌목록정보(KORMARC)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