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

 1  [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1
 2  [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2
 3  [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3
 4  [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4
 5  [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5
 6  [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6
 7  [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7
 8  [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8
 9  [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9
 10  [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10
 11  [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11
 12  [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12
 13  [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가사][가사문학][가사문학 역사][가사 한역][가사 서술]가사(가사문학)의 정의, 가사(가사문학)의 특징, 가사(가사문학)의 형식,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의 한역, 가사(가사문학)의 서술 분석
  • [가사][가사문학][문학][율격][한역][초사체형]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장르, 가사(가사문학)의 서술, 가사(가사문학)의 율격, 가사(가사문학)의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초사체형 분석
  • 고려 속요의 여음과 기능에 대한 고찰
  • 영어영문과 세종대왕의 국가경영 The Canterbury Tales와 용비어천가의 비교
  • 구지가(龜旨歌) - 다양한 해석의 즐거움
  • 가사(가사문학) 복선화음가, 면앙정가 작품분석, 가사(가사문학) 합강정가, 우희국사가 작품분석, 가사(가사문학) 원한가, 갑민가 작품분석, 가사(가사문학) 어부사 작품분석, 가사(가사문학) 이별곡 작품분석
  • 가사(가사문학)와 서민가사, 가사(가사문학)와 풍수가사, 가사(가사문학)와 종교가사, 가사(가사문학)와 은일가사, 가사(가사문학)와 여성가사, 가사(가사문학)와 창의가사, 가사(가사문학)와 12가사 분석
  • 가사문학(가사) 원한가, 매화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월여농가, 노처녀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부녀가, 국채보상단연회의연금권고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속미인곡 가사문학(가사)관동별곡 작품분석
  • [가사]가사(가사문학)와 사대부가사, 가사(가사문학)와 12가사, 가사(가사문학)와 유배가사, 가사(가사문학)와 서민가사, 가사(가사문학)와 미인곡계가사, 가사(가사문학)와 여성가사, 가사(가사문학)와 풍수가사
  • [문학] 가사문학과 면앙송순의 문학세계
  • 소개글
    [가사][가사문학][문학][가사 개념][가사 성격][가사 역사][가사 명칭]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가사(가사문학) 명칭,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가사(가사문학)와 서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가사(가사문학)의 개념

    Ⅲ. 가사(가사문학)의 성격
    1. 형태상의 자유로움
    2. 가사(가사문학)가 1인칭 서술을 핵심으로 하면서 다양한 서술 방식

    Ⅳ. 가사(가사문학)의 역사
    1. 제1기(형성기)
    2. 제2기(발전기)
    3. 제3기(변모기)
    4. 제4기(확장기)
    5. 제5기(쇠퇴기)

    Ⅴ. 가사(가사문학)의 명칭
    1. 장가(長歌)
    2. 가사(歌詞)
    3. 가사(歌辭)

    Ⅵ. 가사(가사문학)와 한역

    Ⅶ. 가사(가사문학)와 서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가사 중에서 한역되어 현재 전해지고 있는 작품은 송순(1493-1583)의 , 정철(1536-1593)의 , 정훈(1563-1640)의 , 김이익(1743-1830)의 , 정학유의 , 그 외 등 12편이다.
    송순의 는 누구에 의하여 한역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면앙집 권4 잡저편에 “新飜俛仰亭長歌一篇”이란 제목으로 한역가가 실려 있다. 한시 형태는 초사체로서 111구로 되어 있다. 정철의 은 청음 김상헌(1570-1652), 서포 김만중(1637-1711), 청호 이양렬 등 3인이 한역하였는데 김상헌은 오, 칠언 고시 120구로, 김만중은 칠언 고시 79구로, 이양렬은 칠언고시 183구로 번역하였다. 이 한역가들은 모두 松江別集追錄遺詞에 실려 있다.
    은 배와 김상숙(1717-1792)이 초사체 127구로 번역하였으며 시익재 정도(1708-1787)는 5, 7언 고시 76구로, 연경재 성해응(1760-1839)은 5, 7언 고시 127구로 번역하였다. 김상숙의 한역가는 추록유사와 사미인곡첩에 실려 있고 정도의 한역가는 추록유사에, 성해응의 한역가는 연경재집에 실려 전하고 있다.
    은 김상숙이 초사체 96구로, 정도가 5, 7언 고시 68구로 번역하였는데 모두 추록유사에 실려 있다.
    은 잠수 기정진(1798-1876), 석은 송달수(? - 1858), 시익재 정도 등 3인이 번역하였는데 기정진의 한역가는 장단구 119구로서 추록유사와 서하당유고에 실려 있다. 정도는 5,7언고시 92구로, 송달수는 5,7언고시 96구로 번역하였는데 한역가는 모두 추록유사에 실려 있다.
    水南放翁 정훈의 와 의 한역가는 경주정씨세고의 방옹유고에 실려 있는데 는 가사 원문은 전하지 않고 한역가만 전하고 있다.
    유와 김이익의 는 순조 2년(1802)에 지어진 유배가사로서 79세 때인 1821년에 자신이 직접 한역하였는데 장단구 574구의 장편이다.
    정학유의 는 1850년대에 생존했던 소당 김형수가 7언고시 420수로 번역했는데 등의 필사본으로 전하고 있다.
    정현석(1864-1906)은 음악적인 측면으로 보면 십이가사이고 문학적인 면에서는 가사작품인 를 각기 장단구 29구와 30구로 번역을 하였는데 이 한역가들은 교방가요에 실려 전한다. 그리고 이 역시 정현석에 의하여 7언고시 22구로 한역되어 교방가요에 실려 있다.
    참고문헌
    김학성, 가사의 실현화 과정과 근대적 지향, 문학과지성사, 1983
    박순, 가사의 명칭과 장르론적 문제, 새얼어문학회, 2007
    이능우, 가사문학론, 일지사, 1977
    이상보, 한국가사문학의 연구, 형설출판사, 1974
    윤덕진, 가사의 개념 규정을 위한 시론 Ⅰ, 열상고전연구회, 1998
    전태열, 가사의 장르적 성격 연구, 건양대학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