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영화] 북한영화에 대해서

 1  [북한영화] 북한영화에 대해서-1
 2  [북한영화] 북한영화에 대해서-2
 3  [북한영화] 북한영화에 대해서-3
 4  [북한영화] 북한영화에 대해서-4
 5  [북한영화] 북한영화에 대해서-5
 6  [북한영화] 북한영화에 대해서-6
 7  [북한영화] 북한영화에 대해서-7
 8  [북한영화] 북한영화에 대해서-8
 9  [북한영화] 북한영화에 대해서-9
 10  [북한영화] 북한영화에 대해서-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영화] 북한영화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북한 영화의 특성
2) 북한 영화의 장르
3) 북한영화 내러티브의 유형별 분석
4) 북한 영화사
5) 북한의 배우론과 주요 인기배우

3. 결 론
본문내용
1. 서 론
, 가 1000만 관객을 넘어서고 우리의 영화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도 활기일로에 서 있다. 이제 영화는 우리의 여가생활에 빠질 수 없는 요소가 되었고 영화가 우리 문화에 차지하는 비중 또한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엄청나다. 그런데 이것은 남한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같은 땅덩어리를 공유하고 있는 이웃나라(라는 표현만큼 가슴 아픈 표현도 없다)인 북한에서는 어떤 영화를 보고 어떤 생각에 빠져있는지 궁금해졌다. 그들의 언어를 공부하며 그들과 우리는 많이 닮아있는 동시에 조금씩 다른 모습을 보면서 그들의 언어로 이루어진 문화의 총체라 할 수 있는 영화를 살펴본다면 조금 더 내밀한 접근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일찌기 볼셰비키에서 레닌, 스탈린으로 이어지는 구소련이나 나치 시대의 독일과 마찬가지로, 북한은 일찍부터 영화를 비롯한 서사 예술들에 많은 투자를 하였다. 이는 이런 영화, 연극, 소설 등의 서사 예술들이 대중을 공산화시키는데 더할 나위없는 유용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영화라는 매체가 가지는 대중을 휘두르는 힘에 있다. 그 힘의 유용성을 안 김일성과 김정일은 이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투자를 아끼지 않았고 일견 성공적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북한영화에 대한 전체적인 개념과 그 생성이유, 목적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북한영화를 유추해볼 수 있을 것이다. 또, 실제적으로 최근의 북한영화계 동향을 알아봄으로써 동시대를 살아가는 그들과의 눈높이를 가늠해볼 생각이다. 그리고 영화를 보지 않고 텍스트 분석에만 그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 여겨져 영화 한편을 감상하고 그 영화를 통해 보여지는 그들의 사상과 생활상 등을 알아보도록 하자.

2. 본 론
1) 북한 영화의 특성
북한영화는 기본적으로 목적성을 띄고 있다. 기존의 북한 영화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그것들의 궁극적인 메시지들이 김일성, 김정일 부자에 대한 우상화와, 사회주의 이념과 주체사상의 선전으로 압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메시지를 담아 인민들을 사상적으로 강화시키는 것이 바로 북한영화의 목적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목적성 때문에 북한영화는 스스로 몇 가지 기본요건들을 갖추고 있다. 당 노선과 정책에 입각해 소재 소재를 선정하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김정일이 말한 ‘종자론’이 큰 영향을 미친다. ‘종자를 옳게 골라잡는 것은 창작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다. 작가는 시대와 혁명의 요구에 맞는 종자를 탐구하는데 언제나 깊은 관심을 돌려야 한다. 작가가 우리 혁명과 건설을 전진시키는데 적극 이바지할 수 있는 의의 있는 종자를 찾아내어 생동하게 형상해낼 때에만 작품의 인식 교양적 역할을 높일 수 있다.’ (김정일,『영화예술론』)

를 선택하고 당 정책과 관련하여 묘사해야 한다는 당성, 계급적 이익을 옹하하는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계급성, 인민의 생활과 관련된 사실을 묘사해야 한다는 인민성, 현실적 모습을 그려야 한다는 현대성이 바로 그것이다. 당성, 계급성, 인민성, 현대성은 사회주의 사상의 기본이 되는 내용으로 이런 사실은 북한영화가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여기에 덧붙여 김일성 수령의 혁명사상과 덕성, 주체사상이 드러나는 것도 북한영화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영화 자체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참고문헌
◆ 참고문헌
서정남, 『북한 영화 탐사』, 서울: 생각의 나무, 2002
이효인, , 한국예술종학학교 논문집, 2000
최척호, 『북한 영화사』, 서울: 집문당,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