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유래물 연구절차

 1  인체유래물 연구절차-1
 2  인체유래물 연구절차-2
 3  인체유래물 연구절차-3
 4  인체유래물 연구절차-4
 5  인체유래물 연구절차-5
 6  인체유래물 연구절차-6
 7  인체유래물 연구절차-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체유래물 연구절차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생물 다양성 협약
II. 생명윤리법의 개정방향 알아보기
III. 인체유래물 연구를 위한 절차
IV. 인체유래물을 모으거나 얻기 위한 절차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생물 다양성 협약

1. 추진배경
UN환경개발회의(UNCED, 1992)에서 국제적 환경보전과 지속개발 문제를 논의하며 생물 다양성 협약에 대한 서명이 시작된다. 1993년 12월 29일부터 발효되었으며 우리나라는 1994년 10월 3일 비준하여 가입하여 1995년 1월 1일부터 발효되었다. 생물 다양성 보전의 필요성에 대해 세계적인 인식이 확대되었고 개발도상국들이 생물다양성의 경제적 가치를 인식한 것이 생물 다양성 협약이 추진되는 배경이 되었다.

2. 생물다양성의 개념
생물다양성 협약 제 2조에는 생물다양성이란 육상, 해상 및 그밖의 수생생태계 및 생태학적 복합체(Ecological Complexes)를 포함하는 모든 자원으로부터의 생물간의 변이성을 말하며, 종들간 또는 종과 그 생태계 사이의 다양성을 포함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생명체의 다양성과 생명체가 살아가는 서식처의 다양성을 총칭하며, 생명체를 보는 단계에 따라 유전자 수준의 다양성, 종 수준의 다양성 그리고 생태계 수준의 다양성 등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참고문헌
Hewitt RE. Biobanking: the foundation of personalized medicine. Curr Opin Oncol 2011;23:112-119.
Ryu Y, Shin B, Kim B, Kim A, Kim H. Legal and ethical consideration in the use of human biological material. Korean J
Young-Joon Ryu, MD•Hankyeom Kim, MD•Sejin Jang, MD,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a human biological material management system for research hospitals; J Korean Med Assoc 2012 March; 55(3): 292-303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하위법령 연구.” 생명윤리포럼 제1권 제2호 (2012).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