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정보학]말뭉치의 띄어쓰기에 대하여

 1  [국어정보학]말뭉치의 띄어쓰기에 대하여-1
 2  [국어정보학]말뭉치의 띄어쓰기에 대하여-2
 3  [국어정보학]말뭉치의 띄어쓰기에 대하여-3
 4  [국어정보학]말뭉치의 띄어쓰기에 대하여-4
 5  [국어정보학]말뭉치의 띄어쓰기에 대하여-5
 6  [국어정보학]말뭉치의 띄어쓰기에 대하여-6
 7  [국어정보학]말뭉치의 띄어쓰기에 대하여-7
 8  [국어정보학]말뭉치의 띄어쓰기에 대하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정보학]말뭉치의 띄어쓰기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 목적

2. 말뭉치 자료와 띄어쓰기
1) 계량 단위로써의 띄어쓰기
2) 띄어쓰기의 원칙과 입말뭉치에서의 적용

3. 입말뭉치의 띄어쓰기 용례
1) 합성어와 구
① 합성어(합성 용언 제외)
② 합성 용언
③ 보조 용언
2) 의존 명사
3) 관형사
4) 입말에 자주 나타나는 표현
5) 외래어와 외국어
6) 기타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2. 말뭉치 자료와 띄어쓰기

1) 계량 단위로써의 띄어쓰기

띄어쓰기의 대원칙이 되는 한글 맞춤법 제2항은,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이다. 여기서 단어란 인식의 기본 단위를 말하는데, 이러한 막연한 기준만으로는 단어를 규정할 수 없고, 또 통일된 표기를 이끌어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글이나 말을, 컴퓨터를 사용하여 계량적으로 이용하고자 할 목적으로 자료화할 경우, 띄어쓰기 규정의 원칙과 허용을 고려하여, 통일성 있고 일관성 있는 나름대로의 원칙을 세운 후 말뭉치를 구축하여야 한다.
임칠성(1997)에서는 단어별로 띄어 쓴다는 원칙을 준수하여 원칙적으로 띄어 써야 하는 단위를 개별 단위로 인식하되, 일반인들의 기본적인 인식 단위를 고려하여 단위를 설정한다고 하였다. 즉, 기본적인 인식에 근거로 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원칙 규정이 아닌 허용 규정을 채택하는 방법도 취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전사 작업을 교정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된 어휘들을 모아, 개별 어휘에 대한 띄어쓰기 용례를 분류 기준에 따라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 각 용례의 띄어쓰기 판별에 있어서는 기준 사전과 사전 편찬 작업에 사용된 지침서를 기준으로 삼고자 한다.


2) 띄어쓰기의 원칙과 입말뭉치에서의 적용

이 장에서는, 문제가 되는, 전사 자료의 띄어쓰기 용례를 제시함에 앞서, 한글 맞춤법 규정 중 띄어쓰기와 관련된 사항을 먼저 살펴보고, 이를 입말뭉치에 적용하는 대략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국립국어연구원 사전편찬실. (1997). “띄어쓰기 지침”, 사전 편찬 참고 자료.
남기심, 고영근. (1985).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동아출판사 국어부. “국어 교과서 띄어쓰기 용례”
미승우 편. (1988). 새 맞춤법과 표준어 해설. 지학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1998). 연세 한국어 사전. 두산동아.
임칠성 외. (1997). 한국어 계량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태선경.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띄어쓰기, 맞춤법의 혼용 및 오용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