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

 1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1
 2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2
 3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3
 4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4
 5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5
 6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6
 7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7
 8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8
 9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9
 10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10
 11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11
 12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12
 13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13
 14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구조와 사용현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질병분류와 표준분류

3. ICD 개요

4. KCD 개요

5. KCD 연혁

6. KCD 구조

7. KCD 사용 현황

8.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876년 나온 멜빌 듀이의 십진분류법은 그때까지 있었던 도서관의 체계를 바꾸어놓았다. 십진분류법은 전 학문의 체계적인 분류와 더불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호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도서관이 늘어나고 학문이 발전함에 따라 DDC는 점점 세분화되었고, 전 세계에서 이용하는 분류법이 되었다. 국내에서도 DDC를 실정에 맞게 고친 KDC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분류법은 도서관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분야 및 국가기관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른 학문의 대표적인 분류로는 린네가 만든 생물 분류법이 있고, 국가기관에서 사용하는 분류법의 예로는 직업분류, 토양분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류법이 개발, 이용되고 있다. DDC와 KDC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분류의 일반원칙은 다음과 같다. ① 합목적성 ② 일관성 ③ 망라성&상호배타성 ④ 점진성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분류의 일반원칙은 십진분류법에만 적용되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분류법에서도 이러한 원칙이 적용되는지 살펴보기로 했다. 사용한 분류법은 국제질병분류로, 이유는 다음과 같다. DDC와 비슷한 시기인 19세기 말에 만들어졌고, 국제적으로 사용되며 현재도 꾸준히 수정, 개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국내에서도 국제질병분류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분석이 더욱 용이하다고 판단하였다.
2. 질병분류와 표준분류 질병분류는 현재 알려진 병명을 하나의 기준에 따라 묶어놓은 하나의 범주체계이다. 그 목적은 여러 지역에서 상이한 시기에 수집된 사망과 질병이환(罹患, 병에 걸림) 자료를 체계적으로 기록, 해석하여 분석과 비교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질병분류와 기타 보건과 관련된 용어를 알파벳과 숫자가 결합된 분류번호로 바꾸는 것을 표준분류라 한다.
참고문헌
오현주, 「한국 표준질병사인분류의 개정에 관하여」, 보험의학회지 Vol.27 No.1, 2008.
통계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통계청,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