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방언 음운분석

 1  정선방언 음운분석-1
 2  정선방언 음운분석-2
 3  정선방언 음운분석-3
 4  정선방언 음운분석-4
 5  정선방언 음운분석-5
 6  정선방언 음운분석-6
 7  정선방언 음운분석-7
 8  정선방언 음운분석-8
 9  정선방언 음운분석-9
 10  정선방언 음운분석-10
 11  정선방언 음운분석-11
 12  정선방언 음운분석-12
 13  정선방언 음운분석-13
 14  정선방언 음운분석-14
 15  정선방언 음운분석-15
 16  정선방언 음운분석-16
 17  정선방언 음운분석-17
 18  정선방언 음운분석-18
 19  정선방언 음운분석-19
 20  정선방언 음운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선방언 음운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01 음운체계
(1) 자음체계
(2) 모음체계
(3) 운소체계

02 음운현상
(1) 고모음화
(2) 저모음화
(3) 이중모음의단모음화
(4) 단모음의 이중모음화
(5) 활음화
(6) ’ㅣ’모음역행동화
(7) ㅏ→ㅐ 현상
(8) 후설모음화
(9) 전설모음화
(10) 비모음화
(11) 음절분리
(12) 어두경음화
(13) 구개음화
(14) 평음화
(15) 고어형에서 비롯된 말
(16)줄임말
(17) 자음의 탈락
본문내용
모음체계
‣ 단모음체계
‘ㅔ’와 ‘ㅐ’의 구별이 뚜렷하다.
개/게 때(옷에 검게 묻어 더러워지는 것)/떼(새나 짐승이 무리지어 있는 것) 밴다(아이를 배다)/ 벤다(나무를 베다)
‘ㅟ’와 ‘ㅚ’가 단모음(ㅟ, ㅚ)으로 변별되긴 하지만 이중모음(뒤비[wi], ㅙ)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운소체계

발화에서 성조보다는 장단을 더 많이 찾을 수 있었다.
장음은 음절이 준 말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이때의 장음은 대립쌍이 없기 때문에 의미를 변별하는 기능이 아닌 어감을 더 강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음절이 줄어든 것에 대한 보상심리로 일어난 것이다.
아 :(=아이), ˊ 가 :(=그 아이), 거 :(=거기)

고조가 실현된 말로는 그 아이를 의미하는 'ˊ가:'를 찾을 수 있었다. 고조가 실현되지 않은 '가:'는 육지에 인접한 바다를 일컫는 말이다.


참고문헌
이진호,《국어 음운론 강의》,삼경문화사, 2011.
손웅일,〈정선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