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우울성 성격과 조증 성격

 1  [심리학] 우울성 성격과 조증 성격-1
 2  [심리학] 우울성 성격과 조증 성격-2
 3  [심리학] 우울성 성격과 조증 성격-3
 4  [심리학] 우울성 성격과 조증 성격-4
 5  [심리학] 우울성 성격과 조증 성격-5
 6  [심리학] 우울성 성격과 조증 성격-6
 7  [심리학] 우울성 성격과 조증 성격-7
 8  [심리학] 우울성 성격과 조증 성격-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심리학] 우울성 성격과 조증 성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우울성 성격
1. 우울에서의 추동, 정동, 기질
2, 우울에서의 방어과정과 적응과정
3. 우울에서의 대상관계
4. 우울성 자기
5. 우울 환자들과의 전이와 역전이
6. 우울 진단의 치료적 함의
7. 감별진단

Ⅱ. 조증 성격
1. 조증에서의 추동, 정동, 기질
2, 조증에서의 방어과정과 적응과정
3. 조증에서의 대상관계
4. 조증성 자기
5. 조증 환자들과의 전이와 역전이
6. 조증과 경조증 진단의 치료적 함의
7. 감별진단
Ⅲ. 요약
Ⅳ. 참고문헌 및 읽을거리
본문내용
Ⅰ. 우울성 성격

1) DSM-Ⅲ에 의해
① 우울/조증 질환이 ‘기분장애’에 포함
② 정동적인 측면 > 심상, 인지, 행동, 감각의 요소
③ 이러한 분류는 임상적인 우울상태에 있지 않을 때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특징적 방어과정을 이해하는데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게 만들었다.
2) 임상적인 우울증 : 가눌 수 없는 슬픔, 에너지 부족, 일상적인 즐거움을 느끼는 능력의 상실, 생존기능의 장애등이 포함된다.

그림 1. 애도와 우울
▶ Freud
① 급성의 임상적 우울증: 뚜렷하게 드러나는 인지, 정동, 심상, 감각과정은 우울성 성격을 지닌 우리들의 마음 안에서는 만성적이고 자기영속적으로 작동하여 삶의 경험을 조직한다 (Laughlin, 1956, 1967).
② 극단적인 우울상태의 환자: 망상에 빠져 자신을 무자비하게 혐오하며, 이들은 항우울제가 개발되기 전까지만해도 세상을 구원할 최선의 방안은 자기자신을 파괴하는 길뿐이라는 확신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1. 우울에서의 추동, 정동, 기질
1) 우울 취약성
(1) 유전적으로 우울경향성 전달.
(2) 우울한 부모의 행동이 자녀들의 기분부전 반응을 조성.
2) 고전적 이론의 관점
(1) Freud(1917) : 너무 이른 상실의 경험이 우울 성향의 중요전조라고 추측 (Abraham(1924)이 구체화)
(2) 우울한 사람들은 구강기에 고착: 너무 빨리·갑자기 젖을 떼었거나, 적응 능력을 압도하는 좌절 경험을 생애초기에 겪었을 것이라고 본다.
(3) 우울한 사람들의 구강적 특성 : 비만이 많고, 구강적 만족(ex.식사,흡연,음주,키스 등)을 좋아한다. (정서적 경험을 배고픔에 비유하며 묘사하는 경향)
3) 초기 정신역동관점의 우울과정에 대한 견해
(1) 우울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부정적 정동 대부분을 다른 사람에게서 거둬들여 자기 자신에게로 돌리며, 자신의 실제 약점에 비해서 너무나 터무니없이 자신을 증오한다(Freud, 1917a).
(2)‘자기에 대한 가학증(공격성)’혹은 ‘안으로 향한 분노’로 묘사된다.
① 치료적 개입: 환자들 자신이 무엇 때문에 화가 났는지 깨닫게 함으로써 병리적 과정이 역전될 수 있도록 시도한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우울한 사람들이 왜 분노 반응을 자기를 향해 돌리도록 배웠는지, 어떤 기능을 위해 패턴을 지속하는지 설명하지 못한다.
② 내부를 향한 공격성(aggression-inward)모델: 우울한 사람들은 자신을 위해서 갈등이 없는 자연스러운 분노를 느끼는 대신 죄책감을 느끼며, 이 죄책감은 자신은 비난받아 마땅하다는 의식적이고 자아동질적인 것이다.
③ 슬픔 : 우울한 사람들의 비통함은 이목을 집중시킨다 → 슬픔은 곧, 우울로 인식되었다.
4) 우울한 사람들의 매력적인 특징
(1)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없을 만큼 혼란이 심하지 않은 이상, 사람들이 좋아하는 타입이다.
(2) 사람들이 좋아하는 이유
① 미움과 비난을 밖으로 돌리지 않고 자신에게로 돌린다.
② 그래서 대개 타인의 잘못에 대해 너그럽고, 이해를 잘해주고, 동정적이다.
③ 또한 다른 사람들의 미심쩍은 점을 선의로 해석하고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관계를 유지하려고 애쓴다.
④ 심리치료 또한 당연히 높게 평가한다.

2. 우울에서의 방어과정과 적응과정
1) 가장 강력하고 원시적이며 기본적인 방어 ‘내사’introjections
(1) 대상 없이는 불완전하다고 느끼고, 완전하다는 느낌을 가지기 위해 대상을 자기감각 속으로 끌어들이는 총체적인 경험(대상과의 고통스러운 경험에서 나온 나쁜 느낌을 자기 표상속으로 끌어들인다는 의미)이다.
(2) 중요성: 정신분석가들은 내부로의 공격성과 같은 단순한 에너지 개념을 넘어서, 우울에서 내재화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3) 특징 : 오래된 애정대상의 혐오적 특성을 무의식적으로 내재화시킨 종류이다. 즉, 애정대상의 긍정적인 속성은 일반적으로 호의적으로 기억되지만, 부정적인 속성은 자기의 일부분으로 느껴진다(Klein, 1940)
참고문헌
1. 읽을거리
Laughlin(1967) : 우울성 성격에 관한 장 (요즘 구하기 어려움)
Gaylin(1983) : 우울에 대한 정신분석적 관점의 요약
Akhtar(1992) " Broken Structures" : 경조증적 성격에 관한 최근 논문
Fenichel(1945) : 우울증과 조증을 다룬 것 (난해한 용어에 도전할 수 있다면 추천)
2. 참고문헌
송지영(2012). 정신병리학 입문. 서울: 집문당.
Ronald J. Comer(2013). 이상심리학 원론. 오경자,정경미,송현주,양윤란,송원영,김현수(역). 시그마프레스.
Nancy McWillams(2008). 정신분석적 진단 성격구조의 이해. 정남운, 이기력 (역). 서울: 학지사.
Nancy McWilliams(2005). 정신분석적 사례이해. 권석만, 김윤희, 한수정, 김향숙, 김지영(공역).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