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문자학의 이해

 1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1
 2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2
 3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3
 4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4
 5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5
 6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6
 7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7
 8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8
 9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9
 10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10
 11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11
 12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12
 13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문자학의 이해
1. 고문자학이란 무엇인가?
2. 고문자학의 연구대상은 무엇인가?

Ⅱ. 고문자학의 기원
1. 고문자의 기원
2. 고문자가 현대한어에 미치는 영향

Ⅲ. 고문자의 구조와 변천
1. 고문자의 구조
1.1 자형 구조의 중요성
1.2 1.2 “육서설”과 문자 구조
2. 고문자의 변천
1.1 형성화(形聲化)
1.1.1 상형
1.1.2 지사
1.1.3 회의
1.1.4 형성
1.2 간화(簡化)
1.3 와변(訛?)
본문내용
Ⅰ. 고문자학의 이해
1. 고문자학이란 무엇인가?
고문자란 고대 역사의 한 과정 속에서 언어의 부호로 사용되거나 응용되다가 아메리카의 마야문자처럼 역사적인 이유로 없어졌거나 혹은 수메르의 설형문자나, 이집트의 신성문자처럼 문자 자체가 변하거나 파기됨으로 인해서 교제 기능을 상실해 버리게 된 문자를 말한다. 그래서 지금 이 문자들은 단지 학자들이 고문헌을 해독하는 도구로 사용할 뿐이다.
그렇다면 “고한자학” 혹은 “한어고문자학”이라 불러야 합당하겠지만, 중국에서 고문자는 고한자의 의미로, 고문자학은 고한자학의 의미로 통용되어 쓰이고 있기 때문에 “고문자학”이라 하는 것이다. 중국의 소수민족의 쓰던 고문자에 대해서는 이미 “민족고문자”라고 따로 구분 지어 부르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문자를 연구하는 학문을 “민족고문자학”이라 하고 있다. 그렇다면, 무엇을 고문자학이라고 할까? 정리해 보면 고문자학이란 한족이 고문자를 사용해서 기록한 문헌자료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을 말하는 것이다.
2. 고문자학의 연구대상은 무엇인가?
중국 문자는 갑골문, 금문, 전국문자, 소전, 예서, 해서, 초서, 행서, 간체자 등의 순서로 발전해 왔는데 어디까지가 고문자인 가는 학자마다 의견이 조금씩 다르다. 갑골문, 금문, 전국문자까지를 고문자라고 하는 학자가 있고, 어떤 학자는 갑골문과 금문만이 고문자라 하고, 또 어떤 학자는 소전, 예서까지 범주에 넣기도 한다. 그래서 우리는 ?錫圭(구석규)저자의 《중국문자학의 이해》에서 말한 “한자의 형태는 갑골문부터 소전, 소전에서부터 예서, 해서 까지 변했다. 즉 간결화된 변화 과정이다. 한자의 변화는 두 부분이었다. 글자체와 글자 형태이다. 글자체의 변화는 두 단계로 나뉜다. 즉 갑골문에서 소전까지의 한자를 고문이라고 한다. 예서의 나타남이 고문(古文)의 생김새를 바꾸었다. 한자의 형태가 질적 변화에 이르렀다. 예서 및 그 후에 나타난 글자체를 현대 한자라고 한다.” 내용을 참고하는 게 일반적인 견해다.
고문자는 상형을 기초로 하였기 때문에 本?에 가깝다. 이에 비해 금문자는 이미 네모와 된 부호화가 진행되었으며, 자형과 자의관계가 매끄럽고, 필획의 점과 획까지도 정확하게 가늠할 수 있다.
참고문헌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
『문자학개론』
박재복(2009), 『중국 先秦시기 甲骨의 占卜방식에 대한 小考』, 박사학위논문
王力,《??史稿》
《문자의 역사》
《古文字中的形???》。
하고 싶은 말
문자의 기원을 생각하는 것은 매우 즐거운 일이다. 한자는 형태를 가진 표의문자이기 때문에 형태를 보면 한자가 성립되었던 시대를 산 사람들의 생활 태도와 사고방식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각각의 글자들은 형성되었을 무렵의 모습을 여전히 간직함으로써 지금을 사는 우리에게 그 모습을 말해주려는 듯하다. 한자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대인들이 사용했던 말의 정확한 형태를 알아야만 한다. 다행히도 갑골문과 금문 모두 성립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그래서 이를 통해 고문자에 대한 이해와 한자의 변형에 이해를 돕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