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회]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성립

 1  [조선사회]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성립-1
 2  [조선사회]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성립-2
 3  [조선사회]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성립-3
 4  [조선사회]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성립-4
 5  [조선사회]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성립-5
 6  [조선사회]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성립-6
 7  [조선사회]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성립-7
 8  [조선사회]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성립-8
 9  [조선사회]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성립-9
 10  [조선사회]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성립-10
 11  [조선사회]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성립-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사회]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성립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중화의식과 사대관념
+전근대 동아시아세계의 국제관+
=조선시대 교린체제개념과 성립과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기본질서였던 책봉체제를 이해해야 된다. 14~15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는 중화질서 확립에 의한 중국중심의 책봉체제에 의해 형성되었고, 그 이웃나라들 간에는 피책봉국의 입장에서 서로 교린관계를 성립시킴으로써, 총체적으로 ‘책봉체제’와 ‘교린관계’라는 국제질서를 유지갔던 것이다. 특히 중국과 이웃나라간의 상호인식은 이 외교체제를 형성하는 기본골격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이 체제를 이해하기 위해 전근대 동아시아세계의 국제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앞에서 말한 국제관을 논할 때 기본틀이 되는 중요한 인식은 ‘중화의식’과 ‘사대관념’이라고 볼 수 있다.
+‘중화의식’과 ‘사대관념’이 책봉체제를 어떻게 형성해가는가?
=중화의식은 중화가 세계의 중심을 이룬다는 의식으로 중국인의 세계관인 천하사상과 결합되어 주변을 모두 이민족으로 생각하는 화이의식으로 커간다. 이는 중국인의 대외인식을 결정하는 관념의 핵이 된다. 그 후 춘추전국시대에 들어 화이사상만으로 한족의 통일을 이룰수 없게 되자 공자는 이상적 문화국가건설을 위해 종래의 화이의식에 ‘예’를 강조한다.
이런 예에 의한 화이의식은 신례행위를 요구하는 조공과 책봉의 외교규범으로 정형화되어간다. 변화한 화이의식은 송대에 주자학과 만나면서 예적 질서에 의해 형성되었던 모든 관계도 도리를 바탕으로 하는 항구불변원칙으로 인식되기 시작했으며, 그러한 관념이 동아시아 국가간에 기본적 대외인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