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의 흐름]공포영화, 가족- <장화홍련>, <4인용 식탁>, <아카시아>

 1  [대중문화의 흐름]공포영화, 가족- <장화홍련>, <4인용 식탁>, <아카시아>-1
 2  [대중문화의 흐름]공포영화, 가족- <장화홍련>, <4인용 식탁>, <아카시아>-2
 3  [대중문화의 흐름]공포영화, 가족- <장화홍련>, <4인용 식탁>, <아카시아>-3
 4  [대중문화의 흐름]공포영화, 가족- <장화홍련>, <4인용 식탁>, <아카시아>-4
 5  [대중문화의 흐름]공포영화, 가족- <장화홍련>, <4인용 식탁>, <아카시아>-5
 6  [대중문화의 흐름]공포영화, 가족- <장화홍련>, <4인용 식탁>, <아카시아>-6
 7  [대중문화의 흐름]공포영화, 가족- <장화홍련>, <4인용 식탁>, <아카시아>-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중문화의 흐름]공포영화, 가족- <장화홍련>, <4인용 식탁>, <아카시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공포영화 / 가족주의
1) 공포영화
① 대리만족
② 억압과 불안의 극복
③ 현실의 거울인 공포영화
2) 우리나라의 가족주의

Ⅲ. 영화의 줄거리 , ,
1)
① 등장인물의 성격
② 영화의 줄거리
2)
① 등장인물의 성격
② 영화의 줄거리
3)
① 등장인물의 성격
② 영화의 줄거리

Ⅳ. 영화에서 보여지는 가족의 모습
1)
① 외부 이입자에 대한 거부
② 전통적 가족관(폐쇄적 가족관)에 대한 고찰
③ 근친상간
2)
① 가정폭력의 희생양
② 해체되는 가족
③ 외부 이입자의 완전이입은 불가능한가?
④ 가장 가까운 것들이 주는 공포
3)
① 가족의 폐쇄성
② '죄'까지 안아버리는 가족주의
③ '핏줄'에 얽매인 사회

Ⅴ.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최근 들어 과거에 비해 공포영화를 접할 기회가 많아졌다. 공포영화를 접할 기회가 많아진 만큼 그 공포의 대상도 예전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과거의 공포영화는 주로 원한 맺힌 영혼이 갑작스레 등장하여 보고있는 사람을 깜짝 놀라게 하는 식의 공포가 주를 이루었었다. 최근의 공포영화들은 양적 확대와 더불어 그 소재가 다양해졌으며, 그에 더해 사회적 상황을 반영하고, 호소하려는 몸짓들이 보여지고 있다. 다시 말해 흉가나 폐가에 존재했던 공포가 일상으로 나왔다는 것이다. 공포의 대상이 연쇄 살인마 같은 존재이기보다는 현실의 내면에 도사리고 있는 억압된 기운으로 추상화되면서 ‘명품 호러',‘여피 호러’(도시 중산계급 가정의 공격성과 폐쇄성, 억압된 욕망을 포착하는 영화)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2003년 특히 많은 공포영화가 제작되었고, 특이하게도 가족과 관련(우리는 이것을 시대적 상황과 결부된 것이라고 해석하고 싶다.)된 작품들이 많이 눈에 띄었다. 그 중 세 편의 영화 ', , '를 통해 영화에서 보여지는 '공포영화와 가족'에 대해 얘기해 보고자 한다.
Ⅱ. 공포영화 / 가족주의
1) 공포영화
공포영화는 '관객에게 공포를 경험하게 하려는 목적에서 만들어진'영화이다. 공포영화로 분류되는 기준은 '공포'라는 영화의 '효과'인 것이다. 이것은 관객이 공포영화를 받아들이는 태도에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공포영화를 보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다음의 세가지를 주목하고 싶다.
- ① 대리만족
인간이 사회 속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많은 제약(폭력ㆍ법규위반ㆍ성적충동 등)을 참아야만 한다. 이러한 것들은 억압으로 작용하고 공포영화는 안전을 보장하며 이것을 위반해 버린다. 물론 이러한 위반은 대부분의 영화에서 대가를 치르기 하지만 말이다. 그 대가를 치르기 전 과정까지 벌어지는 상황에서 관객은 대리만족을 찾을 수 있다.
- ② 억압과 불안의 극복
예를 들면, 컴퓨터와 인터넷의 확산으로 N세대라는 새로운 세대가 생겨났다. 기성세대에게 이들은 파악할 수 없고 통제할 수 없는 젊은이들로 불안한 존재들이다. 그런데 영화에서 이 젊은이들을 괴물로서 간주하고 응징한다면 불안을 희석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공포영화는 우리 내부에 억눌려 있는 억압과 불안을 일시적이나마 해소시켜 준다. 즉 무의식 속에 내재한 억압과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별로 유쾌하지 않은 공포를 받아들인다고 할 수 있다.
- ③ 현실의 거울인 공포영화
괴물이나 귀신의 존재가 흉하고 그들의 잔혹한 행동만으로 우리를 공포에 빠지게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19세기초에 발표된 메리 셀리의 『프랑켄슈타인』이 신의 영역에 도전해 잘려진 서로 다른 신체를 조합해 만든 인간의 외모가 혐오스럽기 때문에 공포를 불러일으킨 것만은 아니다.

참고문헌
영화에 대하여 알고 싶은 두세가지 것들(한울) / 구희영
공포영화의 이론과 실제 / 편장완
인터넷 검색
site : 정성일의 영화세상, 인터넷 영화천국, cineline, cine21, 장화홍련 daum까페, 4인용 식탁 daum까페
하고 싶은 말
과거의 공포영화는 주로 원한 맺힌 영혼이 갑작스레 등장하여 보고있는 사람을 깜짝 놀라게 하는 식의 공포가 주를 이루었었다. 최근의 공포영화들은 양적 확대와 더불어 그 소재가 다양해졌으며, 그에 더해 사회적 상황을 반영하고, 호소하려는 몸짓들이 보여지고 있다. 2003년은 특이하게도 가족과 관련(우리는 이것을 시대적 상황과 결부된 것이라고 해석하고 싶다.)된 작품들이 많이 눈에 띄었다. 그 중 세 편의 영화 ‘<장화, 홍련>, <4인용 식탁>, <아카시아>’를 통해 영화에서 보여지는 ‘공포영화와 가족’에 대해 얘기해 보았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