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개발]수도권의 신도시와 광역도시계획

 1  [신도시 개발]수도권의 신도시와 광역도시계획-1
 2  [신도시 개발]수도권의 신도시와 광역도시계획-2
 3  [신도시 개발]수도권의 신도시와 광역도시계획-3
 4  [신도시 개발]수도권의 신도시와 광역도시계획-4
 5  [신도시 개발]수도권의 신도시와 광역도시계획-5
 6  [신도시 개발]수도권의 신도시와 광역도시계획-6
 7  [신도시 개발]수도권의 신도시와 광역도시계획-7
 8  [신도시 개발]수도권의 신도시와 광역도시계획-8
 9  [신도시 개발]수도권의 신도시와 광역도시계획-9
 10  [신도시 개발]수도권의 신도시와 광역도시계획-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도시 개발]수도권의 신도시와 광역도시계획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수도권의 공간구조
II. 수도권의 지역정책
III. 수도권의 관리원칙과 방향
IV. 수도권의 현안과 쟁점
V. 2000년 신도시론의 한계
VI. 광역도시계획
VII. 제언
본문내용
5. 제 5단계 (2000년이후:개발 또는 지속가능?)
‘지속가능한 개발’은 1972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 인간환경회의에서 바바라 워드여사가 처음 사용하였다. 1974년 멕시코에서 개최된 한 유엔회의에서 채택된 코코욕선언에서 지속가능개발이란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1992년 리우 환경회의와 1996년 이스탄불 도시회의의 주요의제가 ‘지속가능한 개발’이 되면서 이 개념은 세계인의 일상용어가 되었다. 지금은 이 개념이 확대되어 생태적으로 안전하며 지속가능한 도시개발(ecologic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의 개념으로 사용.


III. 수도권의 관리원칙과 방향

1.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개발과 환경의 보전, 생태도시(ecocity)와 생태공간.
▷분산시키면서 경쟁력을 갖춘 지역으로의 탄력적 운영.

2. 친환경성(pro-environmentalism)
▷1992년의 리우환경회의, 1996년의 이스탄불 도시정상회의.
▷경제적 번영보다 일상적인 삶의 질이 더욱 중시.
참고문헌
저서, 1999, 수도권의 이해, 보성각.
공저, 1998, 수도권연구, 한울 아카데미.
저서, 1986, 교외지역연구, 신라출판사.
논문, 2000, “광역도시계획 수립의 필요성과 방향,” 도시문제 6.
논문, 1997, “수도권 신도시의 주거환경과 주민운동,” 사회과학연구 15.
논문, 1997, “Residential mobil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Korea," GeoJournal 43(4), Internatinal Geographical Union, Kluwer Pubu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