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문법론] 한일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와 문제점

 1  [한국어문법론] 한일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와 문제점-1
 2  [한국어문법론] 한일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와 문제점-2
 3  [한국어문법론] 한일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와 문제점-3
 4  [한국어문법론] 한일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와 문제점-4
 5  [한국어문법론] 한일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와 문제점-5
 6  [한국어문법론] 한일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와 문제점-6
 7  [한국어문법론] 한일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와 문제점-7
 8  [한국어문법론] 한일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와 문제점-8
 9  [한국어문법론] 한일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와 문제점-9
 10  [한국어문법론] 한일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와 문제점-10
 11  [한국어문법론] 한일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와 문제점-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문법론] 한일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와 문제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
1.1 학교문법의 정의
1.2 품사분류와 기준
1.3 한국어의 품사분류
1.4 일본어의 품사분류
2. 품사분류의 문제점
2.1 ‘이, 그, 저’ 와 「こ, そ, あ, ど」
2.2 조동사
2.3 동사와 형용사
Ⅲ. 결론
본문내용
외국어 고등학교로 일본어 교생 실습을 나가서 수업을 하던 도중, ‘예쁘다’의 품사가 동사냐는 학생들의 질문을 받고 깜짝 놀랐던 적이 있다. 학생들은 ‘~은, 는’의 활용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은 형용사로, ‘~다’ 로 끝나는 형태는 ‘동사’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영어단어 beauty 는 ‘아름다움, 미(美)’ 로 beautiful 은 ‘예쁜’ 으로, 일본어의 おいしい(맛있다) 는 ‘맛있는’ 으로 필기하면서, 일본어나 한국어의 경우도 그렇게 필기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물었다. おいしい 는 ‘맛있다’라는 기본형을 가진 형용사라고 설명했더니 ‘맛있는’ 이라고 하면 형용사이고 ‘맛있다’라고 하면 동사라면서 이해하지 못하는 표정이었다. 일본어에서는 い로 끝나는 단어는 형용사라고 말해주었더니 고개를 끄덕이며, 우리말에서는 ‘~다’로 끝나면 동사가 아니냐고 했다. 그제서야 나는 학생들이 겉으로 보이는 형태상의 특징으로 동사와 형용사를 나누고 있었기 때문에 ‘맛있다’를 동사라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일본어의 품사분류는 알고 있으면서 우리나라의 품사 분류에 대해서는 시원스럽게 답을 해 주지 못했기 때문에 양국의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는 어떤지 궁금해졌다. 어떤 기준으로 품사를 구분했는지 알고 싶고, 품사 뿐 아니라 문장 성분에 걸쳐서 한국과 일본 양국의 학교 문법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들에 대해서 알고 싶어서 이러한 주제를 생각해냈다.
참고문헌
고영근, 남기심, 『개정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등학교 (문법)』, 교육인적자원부,2002.
이관규, 『개정판 학교문법론』, 월인, 2004.
이광정, 『국어문법연구Ⅰ』,역락, 2003.
이상오, 『현대일본어문법』,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3.
윤상실 외, 『일본어학의 이해』, 제이앤씨, 2002.
北原保雄, 『槪說日本語』, 朝倉書店, 1995.
渡辺實, 『국어문법론』, 昭和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