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문법론] 부사절 내포

 1  [한국어문법론] 부사절 내포-1
 2  [한국어문법론] 부사절 내포-2
 3  [한국어문법론] 부사절 내포-3
 4  [한국어문법론] 부사절 내포-4
 5  [한국어문법론] 부사절 내포-5
 6  [한국어문법론] 부사절 내포-6
 7  [한국어문법론] 부사절 내포-7
 8  [한국어문법론] 부사절 내포-8
 9  [한국어문법론] 부사절 내포-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문법론] 부사절 내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내포와 내포절
2. 부사절 내포
2.1 통사적 특성
2.2 의미에 따른 분류
3. 부사절 내포문을 형성하는 용언의 어미
3.1 검토 대상과 방법
3.2ꡐ-게, -도록, -듯이, -으락ꡑ에 대한 검토
*결론
본문내용
*서론

학교문법에서 부사절로 내포된 것을 이어진 문장 즉, 접속문의 하나로 구분하기도 한다. 접속을 대등 접속과 종속 접속으로 나누고 여기서 부사절 내포로 본 것을 종속 접속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부사절로 내포된 문장을 단순히 두 개의 문장이 어미에 의해서 연결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이러한 것들을 부사절로 내포된 것으로 보아야되는지 종속 접속으로 보아야되는지에 대한 문제점을 부사절 내포의 통사적 특성들이나 의미에 따른 분류를 살펴보면서 재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부사절 내포문을 형성하는 용언의 어미를 밝히고, 동시에 의미면도 파악한다.


*본론

1. 내포와 내포절

내포(內包, embedding)란 접속과 함께 복합문을 생성하는 문법적 기제로서, 하나의 문장이 절로서 다른 문장 속의 한 성분으로 내포되는 절차 혹은 그 현상을 말한다. 이 때 내포되는 문장을 내포문(혹은 내포절)또는 하위문이라 하고, 이러한 내포문을 하나의 성분으로 갖게 되는 전체 문장을 절 내포문 혹은 내포화문이라고 한다. 또한 내포문을 가지고 있는 상위의 문장을 모문(母文, matrix sentence) 혹은 상위문이라고 한다.
내포절=복문 구조에서 핵어를 수식하는 보충절.

여기서는ꡐ왜ꡑ와ꡐ언제ꡑ의 답이 해당하는ꡐ눈이 오니까ꡑ와ꡐ전화를 받자마자ꡑ는 각각 이유와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처럼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을 이유나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절로 내포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부사절 내포는 시간 관계, 인과 관계, 양보, 조건, 목적 등을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된다.
또한 부사절 내포 어미는 문어와 구어에 제약을 크게 받지 않지만, 문어체에서는ꡐ-으므로ꡑ가 사용되고 구어체에서는ꡐ-으니까ꡑ가 사용됨이 보통이다.
참고문헌
․국립국어연구원(2002), 『한국어 표준 문법』
․홍양추(1989), 『국어 부사절 내포문 연구』, 한글203
․최재희(2004), 『한국어 문법론』, 태학사
․김진호(2004), 『언어학의 이해』, 역락출판사
․이관규(1999), 『학교문법론』, 월인
․고영근, 남기심(1995),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