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기술과 사회

 1  적정기술과 사회-1
 2  적정기술과 사회-2
 3  적정기술과 사회-3
 4  적정기술과 사회-4
 5  적정기술과 사회-5
 6  적정기술과 사회-6
 7  적정기술과 사회-7
 8  적정기술과 사회-8
 9  적정기술과 사회-9
 10  적정기술과 사회-10
 11  적정기술과 사회-11
 12  적정기술과 사회-12
 13  적정기술과 사회-13
 14  적정기술과 사회-14
 15  적정기술과 사회-15
 16  적정기술과 사회-16
 17  적정기술과 사회-17
 18  적정기술과 사회-18
 19  적정기술과 사회-19
 20  적정기술과 사회-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적정기술과 사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과제 선택의 문제의식

2. 적정기술의 정의

3. 적정기술의 과거, 현재, 미래

4. 적정기술의 실패사례

5. 적정기술의 조건

6. 적정기술과 사회와의 관계

7. 결론

8. 자료 조사방법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과제 선택의 문제 의식
(1) 문제 - 세계의 빈부 격차
-전 세계 가장 부유한 85명, 세계인구 절반의 재산에 맞먹는 부 소유.
2014년 2월말 국제개발협력NGO 옥스팜 인터내셔널이 보고서 를 통하여 "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85명이 소유한 재산은 1,732조원으로 이는 세계 인구 절반(약 35억명)이 보유한 재산과 맞먹는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표했다. 옥스팜은 또한 세계 인구 중 가장 부유한 1%의 부자들이 세계인구 절반이 소유한 부의 65배를 보유하고 있는 반면, 전 세계 인구 중 가장 가난한 이들 50%가 전 세계 부의 1%만을 소유한다고 밝혔다.

-빈부격차의 원인 : 노동을 통해서 얻은 소득의 비중이 낮아졌다.
경제성장 속에서도 가난한 이들과 부유한 이들 사이의 소득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아시아개발은행은 기술 발전, 세계화, 시장 중심의 개혁, 이런 점들이 아시아의 고속 성장을 이끌었지만 국민 소득 중에서 국민들이 노동을 통해서 해서 얻은 소득의 비중이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우려되는 점은 이러한 소득의 격차가 대물림된다는 데에 있다. 소득이 높은 세대의 자녀들은 더 나은 교육기회와 자원에 접근할 수 있어서 더 높은 소득을 창출하는 일자리를 갖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반면, 소득이 낮은 세대의 자녀들은 양질의 교육을 받을 기회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빈부격차 줄어야 안전한 세상을 만들 수 있다.
극소수의 부자들에게 부가 집중되는 것은 가난한 사람들이 생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자원과 수단을 갖지 못하는 현실로 이어진다. 이는 전 지구적으로 인류가 사용할 수 있는 토지, 물, 자연환경과 같은 자원이 유한하기 때문인데, 엄청난 자본을 지닌 부유한 이들이 자본을 이용하여 이러한 자원을 독점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 세계적으로 굶주리는 인구가 8억 명인데, 그 가운데 80%가 농업에 종사하는 이들로서 토지, 물과 같은 농사에 필요한 자원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자원들이 국경을 넘나드는 다국적 기업의 점유에 의해서 사용이 불허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소수의 사람들에게 자원이 집중되면 가난한 이들의 빈곤이 심화되고 기본적인 의, 식, 주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되어 이는 결국 정치적 안정을 위협하고 사회적 긴장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그래서 많은 경제전문가들이 종교와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가해지는 테러리즘이나 내전도 이러한 빈부격차에 따른 적대감과 절망감이 그 원인이라고 보는 이유다. 더불어 올해 2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표된 보고서에서도 국제사회가 직면한 가장 큰 위기로 빈부격차를 들었으며, 향후 10년 동안 국제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위기로 전망한 바 있다.
이처럼 빈부격차는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안전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평화와 안전을 위해서도 해소되어야 할 중요한 문제로서 우리가 국내는 물론이고 아시아와 아프리카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 빈곤문제에 대처해야 하는 이유이다.
참고문헌

Cynthia E. Smith 외 저, 소외된 90%를 위한 디자인, 한밭대학교 적정기술연구소, 2010
Cynthia E. Smith 외 저, 소외된 90%와 함께하는 디자인 : 도시편, 에딧더월드, 2012
폴 폴락, 적정기술 그리고 하루 1달러 생활에서 벗어나는 법, 새잎, 2012


KIAT, 「2013 세상을 바꾸는 생각들-적정기술」
성공회대학교(2011), 「1970년대 새마을운동 사진자료집」
홍성욱, “21세기 적정기술”, 「호라이즌 11호」
이도영, “한국 적정기술 정책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정책동향」, 제23권 제4호
심재성, “농업전문대학을 통한 적정기술의 보급방법”, 「과학과 기술」, 제17권 제10호
금연우, “적정기술도입의 촉진대책”, 「무역대리점」, 제161권
정기철, 적정기술의 동향과 시사점, 2010.
김정태, 위기시대 적정기술의 역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독고석, 물 적정기술에 대하여, 한국공학교육학회(구 한국공학교육기술학회), 2012
이우성, 적정기술 사업화 사례와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4
한재각, 적정 ‘기술’에서 적정한 ‘사회기술 시스템’으로, 한국과학기술학회, 2013
김동환, 신기술 동향 : 국내외 태양광 기술 및 산업 동향, 한국공학교육학회 2006
김종규, 태양열발전 기술개발 동향, 지열에너지저널 제 4권 4호, p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