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광과 자본주의적 욕망 전봉관 황금광시대 중심으로

 1  금광과 자본주의적 욕망 전봉관 황금광시대 중심으로-1
 2  금광과 자본주의적 욕망 전봉관 황금광시대 중심으로-2
 3  금광과 자본주의적 욕망 전봉관 황금광시대 중심으로-3
 4  금광과 자본주의적 욕망 전봉관 황금광시대 중심으로-4
 5  금광과 자본주의적 욕망 전봉관 황금광시대 중심으로-5
 6  금광과 자본주의적 욕망 전봉관 황금광시대 중심으로-6
 7  금광과 자본주의적 욕망 전봉관 황금광시대 중심으로-7
 8  금광과 자본주의적 욕망 전봉관 황금광시대 중심으로-8
 9  금광과 자본주의적 욕망 전봉관 황금광시대 중심으로-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금광과 자본주의적 욕망 전봉관 황금광시대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금광과 자본주의적 욕망
-전봉관 『황금광시대』 중심으로-
Ⅰ. 서론
1930년대는 모든 현실적 상황이 급변하는 시기였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것은 극심한 구조적 불균형을 초래하였고, 사람들은 좁은 공간에 운집하여 치열한 생존경쟁을 할 수밖에 없었다. 이를테면 도시라는 괴물은 비정성, 개인의 무기력, 자아분열 등으로 다가와 개인의 Personality를 무참하게 짓밟았다. 이 모든 것을 전제로 하고 볼 때, 이 무렵 현실을 대처하는 가장 큰 이슈는 반제, 반봉건으로 집약된다. 일제에 의해 야기된 허다한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은 자본과 노동의 대립을 불러 일으켰고, 농촌을 떠나 실업자 인구가 급증하고, 봉건적 모순이 심화되었다. 일제에 의한 약탈과 지주에 의한 착취는 농민의 삶을 더욱 참담하게 하였다. 이처럼 1930년대는 그 전보다 훨씬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구조를 드러내 보인 시기이다. 하지만 그 시대 우리나라가 황금광시대였다는 것은 이와 같은 상식과는 거리가 멀다. 그런 시절이 어째서 황금광시대였단 말인가?
본고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것은 황금광시대와 황금을 둘러싼 탐욕과 투기를 중심으로 그 시대의 금광과 자본주의적 욕망에 대해서 알아보고, 금광을 모티브로 한 1930년대 문학작품 이태준, 김유정, 채만식의 소설을 중심으로 다루기로 하겠다.
Ⅱ. 본론
1. 황금광시대(黃金狂時代)
1930년대는 전 세계적으로 불안의 시대였다. 193233년을 전후하여 세계문단에는 커다란 불안시대가 닥쳐오고 있었다. 그런데 이 불안의 시대란 결코 문학 또는 문화 자체에서만 온 것이 아니고 커다란 정치적 위기가 전 세계적으로 생겨진 사실을 의미한다.
이병기 백철 공저,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1981, p383
특히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 상태였던 우리에게는 가혹한 시련이 중첩된 민족적 시련기였다. 침략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일제의 착취와 약탈은 극에 달했고, 그로 인해 민족구성원 대다수가 생존을 위협받는 절대적 궁핍의 상황에 처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1930년대의 문학을 이해하는데 있어 이와 같은 시대적 특질은 매우 중요하다. 문학은 인간의 삶을 다루는 것이며, 특히 소설은 현실 반영적 속성과 의미전달력의 강렬성, 허구적 상상력으로 말미암아 현실과 허구의 긴장적 통합이라는 이중적 속성 우한용, 『소설구조의 기혼론적 특성고』, 최현무 편,, 『한국문학과 기호학』, 문학과 비평사, 1988, p402
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1930년대 소설에 담겨 있는 농촌은 그 속에서 살고 있는 자의 눈으로 본 그것이다. 따라서 그 곳에는 미화시킬 아무 것도 없다. 소작농은 물론 영세한 토지를 경작하고 있던 농민들은 일제의 식민지적 착취와 약탈로 인하여 토지를 상실하게 되었고, 최저한의 생활조차 영위하기 힘든 가난한 농촌의 현실이 있으며, 아무리 열심히 농사를 지어도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는 비참한 농민이 있을 뿐이다. 빈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소작농이나 토지를 상실한 이향민이 정상적인 방법으로 도저히 삶을 영위할 수 없는 상황하에서 일확천금을 노릴 수 있는 금점을 향하는 일탈적인 행위를 보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