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문학의 이해 - 현대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

 1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 현대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1
 2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 현대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2
 3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 현대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3
 4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 현대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4
 5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 현대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5
 6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 현대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 현대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현대적 관점에서 본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작품 설명
(1) 줄거리
(2) 근원설화와 주제
2.현대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의 인물들
3.이청준의 ‘눈길’과 비교
(1)‘눈길’의 줄거리와 주제
(2)심청전과 ‘눈길’의 비교
Ⅲ.결론
Ⅳ.참고문헌
Ⅰ. 서론
‘심청전’은 한국에서 자랐다면, 누구든 접해 보았을 것이다. 어린 시절 동화나 TV속 만화에서부터 학창시절 교과서에도 등장할 정도로 대표적인 고전문학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렸을 때야 생각이 없었고, 학창시절에는 그저 문제풀이에 급급해서 이건 판소리체 소설이니, 특징이니 하는 것만 외었을 뿐 깊이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가만 생각해보면 아무리 효녀라지만 자신의 목숨까지 바친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다. 부모님을 사랑하는 마음이 지나치다 못해 미쳤다거나, 자신의 안위를 바라는 마음이 숨어들어오지 못하도록 철저한 희생정신으로 무장하지 않고서야 할 수 없는 일이 아닐까. 대체 심청이는 무엇을 위해 인당수에 몸을 던진 것인지 이제 와서 심청이의 마음을 알 수는 없는 노릇이지만, 심청이와 그 주변 인물들에 대해, 그리고 이청준의 소설 ‘눈길’과의 비교를 통해 심청이의 심정을 조금이나마 파악해보고자 한다.
Ⅱ.본론
1. 작품설명
(1) 줄거리
송나라 말년 황주 도화동이란 곳에 양반의 후예로 행실이 훌륭한 심학규라는 봉사가 곽씨 부인과 살고 있었다. 심학규와 곽씨 부인은 불전에 지성으로 불공을 드린 끝에 딸 심청을 낳았으나 곽씨 부인은 산후 조리를 잘못하여 청을 낳은 후 7일만에 죽고 만다. 마을 사람들은 부인의 인품을 기려 장례를 치러주고, 젖동냥을 다니는 심봉사를 측은히 여겨 청에게 젖을 먹여 준다. 심청은 잔병 없이 성장하여 인물과 효행이 인근에 자자할 정도였으며, 십오 세에 이르러서는 길쌈과 삯바느질로 아버지를 극진히 공양한다. 인물이 뛰어나고 재질이 비법한 청을 장승상 부인은 수양딸로 삼고자 하나 청은 아버지를 생각하고 거절한다. 어느날 이웃집에 방아를 찧어주러 갔다가 늦어지는 청을 찾아나선 심봉사는 실족하여 그만 웅덩이에 빠지는 봉변을 당한다. 이때 마침 그 곳을 지나던 몽은사 화주승이 그를 구해주고 공양미 삼백석을 시주하면 눈을 뜰 수 있다고 하자, 심봉사는 앞뒤 가리지 않고 공양미 삼백석을 시주하겠노라고 서약한다. 자신의 어리석은 약속을 남몰래 후회하는 심봉사의 고민을 알게 된 심청은 마침 인신공양을 구하러 다니는 남경 상인들에게 자신의 몸을 팔고 그 대가로 받은 공양미 삼백석을 몽은사에 시주한다. 아버지가 걱정하지 않도록 장승상댁 수양딸로 가게 되었다고 거짓말을 하던 심청은 행선날이 되어서야 아버지에게 사실을 고하며 하직 인사를 하는데, 뒤늦게 전후 사정을 알게 된 심학규는 통곡하며 실신한다. 남경 상인들의 배를 타고 인당수에 당도한 심청은 마지막으로 아버지를 걱정하면서 인당수에 뛰어든다. 바다 속에서 청은 용궁으로 모셔지며, 후한 대접을 받고 자신의 전생과 현세, 미래를 알게 되며, 꿈에도 그리던 어머니 곽씨 부인을 만난다. 용궁에서 하루를 지낸 청은 연꽃 속에 들어가 다시 인간계로 돌아오며, 남경 상인들은 귀국하던 중 바다에 떠 있는 연꽃을 이상히 여겨 송천자에게 바친다. 천자는 연꽃 속에서 나온 청을 아내로 맞이하고, 왕후가 된 심청은 아버지를 찾기 위해 맹인 잔치를 벌인다. 심청이 떠나고 난 뒤 뺑덕어멈과 같이 살던 심학규는 잔치 소문을 듣고 황성으로 향한다. 도중에 뺑덕어멈의 농간으로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겨우 상경한 심학규는 맹인 잔치에서 황후가 된 청을 만나 크게 감격하여 눈을 뜨게 된다.
(2) 근원설화와 주제
인도의 〈전동자(專童子)설화〉·〈묘법동자(妙法童子) 설화〉, 일본의 〈소야희 小夜姬〉,〈삼국사기〉·〈삼국유사〉의 〈효녀 지은(知恩)설화〉, 〈삼국유사〉의 〈거타지(居陀知)설화〉 등이 있다. 그밖에 〈인신공희(人身供犧)설 화〉, 〈관음사 연기(緣起)설화〉, 불전(佛典)의 〈효자 불공구친(佛功救親)설화〉를 핵심적인 설화로 보기도 하며, 오구굿 계통의 〈황천무가 黃泉巫歌〉를 당시의 사회적 윤리에 맞는 소재로 각색한 것으로 보기도 했다. 그러나 정하영(鄭夏英)은 이같이 근원설화를 평면적으로 나열하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심청전〉을 개안설화(開眼說話)·처녀희생설화(處女犧牲說話)·영웅설화라는 3개의 하위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여기에 다시 출생담·용궁담 등 17개의 화소가 개입되었다고 파악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