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

 1  [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1
 2  [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2
 3  [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3
 4  [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4
 5  [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5
 6  [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6
 7  [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7
 8  [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8
 9  [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9
 10  [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10
 11  [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11
 12  [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12
 13  [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심청전을 통한 개괄적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심청전 개괄적 이해

1) 개관

2) 줄거리

3) ‘심청전’의 작품 구조

4) 배경 사상

2.고전소설의 배경

1) 공간적 배경

2) 시대적 배경

3. 심청전의 배경

가. ‘심청’이 나서 자란 곳

1. 유리국

2. ‘남군 땅’

3. 황주 도화동

4. 양주

나. ‘심청’이 죽은 곳과 살아난 곳

4. 심청의 이동 경로를 통해 본 공간적 배경

5. 관음연기설화와 심청전의 공간적 배경 논란


본문내용
1.심청전 개괄적 이해

1) 개관

이 작품은 판소리(심청가)가 소설로 정착된 판소리계 소설의 대표작으로 ‘심청’의 희생과 환생 및 심 봉사의 개안이라는 내용의 전개를 통해 유교의 근원 사상인 효의 관념을 형상화하고 있다. 심청이 공양미 삼백석에 몸을 팔고 죽게 되는 전반부와 재생한 심청이 부귀를 누리다가 부친과 상봉하는 후반부에선 죽음과 재생의 모티브를 통해 현실성과 초월성이라는 두 세계를 접합시키고 있다. 전반부의 현실세계는 비장미와 숭고미를 창출하고 있으며, 후반부의 초월적 세계는 곧 민중의 소망인 효에 대한 인과응보로 이해된다. 韓國古小說學會, 『韓國古小說論』, 아세아문화사(2006), 306면.


2) 줄거리

[발단] 송나라 말년 황주 도화동이란 곳에 양반의 후예로 행실이 훌륭한 심학규라는 봉사가 생후 7일 만에 어머니를 잃은 딸 청이와 살고 있었다. 동냥젖을 먹여 키운 심청은 효성이 지극했다. 어느날 이웃집에 방아를 찧어주러 갔다가 늦어지는 청을 찾아나선 심봉사는 실족하여 웅덩이에 빠지는 봉변을 당한다. 그 곳을 지나던 몽은사 화주승이 그를 구해주고 공양미 삼백석을 시주하면 눈을 뜰 수 있다고 하자, 심봉사는 앞뒤 가리지 않고 공양미 삼백석을 시주하겠노라고 서약한다.

[전개] 자신의 어리석은 약속을 남몰래 후회하는 심봉사의 고민을 알게 된 심청은 마침 인신공양을 구하러 다니는 남경 상인들에게 자신의 몸을 팔고 그 대가로 받은 공양미 삼백석을 몽은사에 시주한다. 아버지가 걱정하지 않도록 장승상댁 수양딸로 가게 되었다고 거짓말을 하던 심청은 행선날이 되어서야 아버지에게 사실을 고하며 하직 인사를 하는데, 뒤늦게 전후 사정을 알게 된 심학규는 통곡하며 실신한다. 심청이 간 뒤에 심 봉사는 뺑덕 어미라는 음란한 여자와 살게 된다.

[절정] 남경 상인들의 배를 타고 인당수에 당도한 심청은 마지막으로 아버지를 걱정하면서 인당수에 뛰어든다. 바다 속에서 청은 용궁으로 모셔지며, 후한 대접을 받고 자신의 전생과 현세, 미래를 알게 되며, 꿈에도 그리던 어머니 곽씨 부인을 만난다. 용궁에서 하루를 지낸 청은 연꽃 속에 들어가 다시 인간계로 돌아오며, 남경 상인들은 귀국하던 중 바다에 떠 있는 연꽃을 이상히 여겨 황성으로 가지고 가 황제에게 바친다. 천자는 연꽃 속에서 나온 청을 아내로 맞이하고, 왕후가 된다.

[결말] 심청은 부친을 찾으려고 맹인 잔치를 크게 베풀어 전국의 맹인을 초대하였다. 뺑덕 어멈과 같이 살던 심학규는 잔치 소문을 듣고 황성으로 향한다. 도중에 뺑덕어멈의 농간으로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겨우 상경한 심학규는 맹인 잔치에서 황후가 된 청을 만나 크게 감격하여 눈을 뜨게 된다.

3) ‘심청전’의 작품 구조
참고문헌
1. 김방룡, 「불교 속에 나타난 용왕신앙」, 『신종교연구11』, 한국신종교학회(2004).
2. 송복, 『효녀심청의 역사적 국문학적 고증』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2000).
3. 이동철, 「용궁설화의 서삭구조와 의미」,『비교민속학 28집』(2005).
4. 이성희, 「의 환상성과 그 지향」,『한국문화연구 8집』(2004).
5. 장덕순, 「심청전 연구」,『국문학통론』,박이정(1995), 209면.
6. 최운식, 『한국 고소설 연구』, 보고사(2004).
7. 표인주, 「서사문학 인물을 이용한 곡성의 상징성과 정체성 형성과정 고찰」, 『한국민속학 44』(2006).
8. 韓國古小說學會, 『韓國古小說論』, 아세아문화사(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