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17장 사회영역이론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제 17장 사회영역

 1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17장 사회영역이론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제 17장 사회영역-1
 2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17장 사회영역이론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제 17장 사회영역-2
 3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17장 사회영역이론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제 17장 사회영역-3
 4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17장 사회영역이론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제 17장 사회영역-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17장 사회영역이론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제 17장 사회영역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 17장 사회영역이론
Ⅰ.머리말
최근 통합적인 관점에서 많은 이론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이장에서는 마르타 라우파(Marta Laupa)와 엘리엇 튜리엘(Elliot Turiel)의 이론에 대해서 살펴 볼 것인데, 이들은 독특한 개념적 영역 내에서 도덕적사회적 판단이 발달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장에서는 세 가지 사회적 영역에 관한 아동의 추론을 다루고 있는데, 이 세 가지 영역은 ①도덕적 영역(복지, 정의, 권리에 대한 관심), ②사회인습적 영역(사회조직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기능에 필요한 사회적 통일성과 규율설의 이해), ③개인적 영역(사회적 규제의 영역 밖인 개인의 선택)이다. 이런 접근은 서구의 사회적 구성이라는 관점을 반박할 수 있다. 사회적 구성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도덕성은 역사와 사회의 전통 속에서 구성되는 것이며 개인의 도덕성은 문화적 상황과 개인의 사회화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반면에 발달적 관점을 부분적으로 따른 영역 특수적 관점에서 보면 도덕성은 아동들이 도덕적사회적 이해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이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 보면 도덕성은 성인으로부터 전수 받는다기보다는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사상이나 사회적 관계를 추론해 보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사회적 규범을 단순히 반영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도덕 판단은 사회적 경계를 넘어선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런 논의들이 아주 새로운 논의들이 아니며, 오랫동안 도덕성의 정의, 본질, 발달의 언저리를 맴도는 주제들을 논의해왔다. 이 장에서는 영역 특수적 관점의 명제와 연구결과들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Ⅱ.이론
1. 배경
사람들은 다른 사회적 추론의 영역들을 발달시키며 사회적 세계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에 대해 다양한 사회적 판단을 하고 있다. 저자들은 개인들의 내부의 사회적 추론의 다양성을 언급하기 위해 ‘이질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사회의 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동질적인’ 사회지향성이 있다는 명제와는 대조적이다. 동질적 견해란 문화들은 항상 여러 사회적 관계들을 포괄하는 도덕적 관점들을 구성하는 조직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개인주의적인 북미의 문화의 특징을 고려하면 이러한 사실을 보다 구체화 할 수 있다. ‘개인적’이라는 용어의 전체적 의미는 독특한 문화적 구성체를 뜻하는 것으로, 미국인들은 이에 많은 주목을 하고 있다.
이들은 영역 특수적인 관점에서 보면 대체로 사회와 그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들의 정형 정형(定型): 일정한 형식이나 틀
이다. 문화들은 단지 한 가지 유형으로만 묘사된다는 점에서 정형들이며, 문화가 정형인 것은 문화가 한 가지 종류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많은 지향성들이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국인들은 개인주의적이지 않으며, 개인주의적집단주의적 지향성을 모두 포괄하는, 복합적이고 분별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그리고 20~30년 전의 미국 사회는 오히려 개인주의에 반대되는 특징을 지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사회적 발달에 관한 적절한 이론 형성을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성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서로 모순된 두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일군의 학자들은 미국 사회를 동질적인 것으로, 즉 개인주의에 반대되는 특징을 지는 것으로 파악하고, 일군의 학자들은 개인주의, 자유주의 등에 주목한다. 이렇게 서로 모순된 주장들이 서로 대두하게 된 것은 전 세계적으로 동질적 문화적 범주들이 상당히 정형화되었기 때문이다.
2. 사회적 영역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