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

 1  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1
 2  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2
 3  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3
 4  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4
 5  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5
 6  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6
 7  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7
 8  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8
 9  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9
 10  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10
 11  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종교가사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가사 연구 -
1. 서론
가사란 국문학 형태상 독특한 장르다. 운문적 형식에 수필적 내용을 담고 있어 시적 정감을 자아내면서 산문적 의미를 전달한다. 가사문학의 사적인 고찰은 아직 정리되지 않았으나 대체로 초기에는 문학적 경향이 깃든 작품이 많았으나 후기로 내려오면서 문학 아닌 다른 실용적 방향으로 전용된 경우가 많았다.
종교가사는 종교의 교리를 세상에 널리 펴는 것을 주제로 한 가사로 각 종교의 경전을 소재로 한 작품과 종교적 정신에 입각하여 창작하거나, 교리의 전도를 위하여 지은 가사가 모두 여기에 포함된다.
동학가사는 이러한 면에서 볼 때 가사의 실용적 전용을 의미하는 작품의 하나다. 수운이 동학을 창건하고 득도의 희열과 제자들의 훈계를 위하여 창작된 이 가사는 국문학사상 양적으로도 개인의 저작으로는 풍부한 편이며, 동일한 내용이 가사마다 되풀이 되어 그의 생애나 가르침을 엿보기에도 좋은 작품이다. 는 과 함께 동학의 가장 중요한 경전이다. 특히 는 가사작품이지만 교조의 가르침을 담은 경전이라는 사실 때문에 동학의 역사적 성격이나 의미, 또는 사상 및 종교의 측면 등 동학을 근간으로 하는 연구에서 핵심적인 자료로 쓰일 만큼 종교사상이 강하게 나탄 있다고 할 수 있다.
2. 작가
최제우(崔濟愚: 1824~1864)
동학 창시자. 최제우의 원래 이름은 제선(濟宣)이고, 자는 성묵(性默), 호는 수운(水蕓)이며 제우는 나중에 그가 고친 이름이다. 경북 경주군 견곡면 가정리에서 몰락한 향촌양반 가정의 서자로 출생하였다. 아버지 최옥은 문장과 도덕으로 경상도 일대에서 손꼽히는 명유였으나 평생 동안 뜻을 펴지 못하고 산림처사 산림처사(山林處士): 산골에 살며 글이나 읽고 세속을 멀리하는 사람. 山林學士(산림학사)
로 일생을 보냈다. 그는 또 두 번이나 상처를 하는 동안에, 아들을 얻지 못하였다. 그러자 바로 아래 동생의 아들을 양자로 삼아 버렸다. 그런데 그 후에 행상을 하며 이웃 마을에 살고 있던 과부 한씨를 맞아 아들을 얻게 되었던 바, 이 아들이 바로 제선이었다. 몰락한 유학자 집안 출신인 그는 당시의 유교적 봉건 지배체제가 대토지 사유화로 인한 내적인 모순과 일본 및 서구열강의 침탈이라는 외세의 압박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전통을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사상체계의 연구에 들어갔던 바, 여기서 그는 전통적인 불교와 도교의 형식에 기독교적 내용을 배합한 동학을 창시하게 된다. 동학에 있어서 신이란 기독교처럼 의지와 인격을 가진 초월자가 아니요, 자연과 동일한 것이다. 신이란 자연이고 곧 인간이다. 말하자면 인간이 곧 하늘이다. 이 관점에서 보면 인간은 모두 평등하기에 봉건적 신분질서는 용납될 수 없는 것이다. 대동평등주의, 인간 지상주의를 표방하는 동학은 그 개혁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농민들의 환호를 받은 한편, 곧 지배계층의 탄압을 유발하였다. 그 결과 교주인 최제우는 마흔의 나이에 좌도난정(左道亂政)의 죄목으로 대구 달성공원에서 처형되었다. 그가 동학을 포교한 지 3년만이었다.
3. 창작배경
동학이 창도된 19세기 중엽은 조선조의 말기로써 사대적인 혼란과 함께, 다양한 시대적 양상이 대두되었던 시기이다. 임진(壬辰)병자(丙子) 양난 이후에 지속적으로 변모의 양상을 보여왔던 조선조 후기 사회가 19세기 초반 이후 더욱 극심한 혼란과 함께 여러 분야에서 근대적인 징후를 보였던 것도 사실이다. 이와 같은 시대적 혼란과 변동이 가속화되고 있는 조선조 후기, 경주 근향 가정리라는 궁벽한 시골에서 가난한 선비의 만득자로 태어난 최제우에 의하여 동학은 창도된다. 그 동학의 경전으로 알려진 것이 와 이다. 종교적 교의나 종교에 대한 찬미를 시가라는 문학에 얹어 부르는 것은 매우 일반적인 현상의 하나이다. 동학이라는 종교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은 마찬가지로, 그 창도와 함께 다양하게 동학의 교의를 담은 시가가 우리 문학상에 나타나게 된다. 동학이 창도되는 1860년에서 1863년 사이에 동학의 교조 최제우가 지은 를 비롯하여 동학의 3대 조교인 손병희에 의하여 지어진 가사, 또 상주 동학교의 김주희에 의하여 지어진 가사, 그 외에 시천교 등의 동학 계열의 가사 및 동학 교도라고 인정되는 사람들의 가사 등이 바로 이에 해당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그렇다면 최제우는 어떤 연유에서 자신의 가르침으로 가사라는 문학 작품에 얹어서 부르게 되었는가. 후천개벽의 엄청난 의의를 강조하자니 일상적인 논리를 과감하게 넘어서야 하고, 아무리 무식한 사람이라도 지니고 있는 절실한 소망을 포괄하자니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해야 했기 때문에, 이 양자를 모두 포괄할 수 있도록 선택된 양식의 하나가 가사라고 할 수 있겠다. 위로는 양반 사대부에서부터 아래로는 일반 아녀자들까지 아무런 제약 없이 읽고 외울 수 있다는 가사 문학의 특징이 수운 선생에게는 동학의 교의를 보다 폭넓게 전할 수 있는 양식으로 받아들여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즉 는 동학의 교의를 그 내용으로 담은 것이며, 동시에 이를 ‘보다 쉽게 일반에 전하기 위한’ 그러한 양식적 장치를 지닌 문학 작품이 되는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