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조론 레포트

 1  김남조론 레포트-1
 2  김남조론 레포트-2
 3  김남조론 레포트-3
 4  김남조론 레포트-4
 5  김남조론 레포트-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김남조론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
김 남 조 론
1. 작가의 생애
1927년 대구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기독교적 인간애와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사랑과 인생을 섬세한 언어로 형상화해 사랑의 시인으로 불리는 계관시인이다. 1940년 대구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옮겨갔기 때문에 소녀시절은 일본에서 보내게 된다. 일본의 큐슈여자고등학교에 입학하고 1944년에 졸업한다. 13세까지를 대구에서 보냈으며, 1940년에서 1944년까지의 가장 감수성이 예민한 시절 일본에서 교육을 받았던 것이다. 1947년 서울대학교 문예과를 수료하고, 1951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과를 졸업했다. 대학시절에 시 「星宿(성숙)」을 (1948)에 기고하였고, 「殘像(잔상)」을 (1950)에 기고하여 시인으로 데뷔하였다.
1951년 마산의 성지여고에 근무 당시 학교 학생들의 연극 공연의 지도를 맡을 때 무대그림과 무대장치를 맡게 된 대학교수이면서 조각가로 유명한 김세중(金世中. 작고) 선생과 인연을 맺게 되면서 1955년 결혼하고 그 해 숙명여대 국어국문과 전임강사 및 1964년 교수로서 재직(現 숙명여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하면서 한국 시인협회 회장, 한국 여류 문학인회 회장을 역임하면서 현재까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제1회 자유 문학가협회 문학상, 제2회 오월 문예상, 제7회 시인협회상, 제33회 서울시 문화상, 대한민국예술상 등을 수상하였고, 모윤숙, 노천명의 뒤를 이어 1960년대 한국 여류 시인의 계보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저서에 시집 《목숨》 《나아드의 향유》 《나무와 바람》 《정념의 기》 《풍림의 음악》(1963) 《겨울 바다》 《설일》 《사랑초서》 《동행》 《빛과 고요》 《바람세례》(1988) 《평안을 위하여》(1995) 《희망학습》(1998) 등이 있고, 수필집 《잠시 그리고 영원히》(1963) 《시간의 은모래》(1965) 《달과 해 사이》(1967) 《그래도 못다한 말》(1968) 《여럿이서 혼자서》(1971) 《은총과 고독의 이야기》(1975) 《사랑의 말》(1985) 《끝나는 고통, 끝이 없는 사랑》(1990) 《사랑 후에 남은 사랑》(1999) 등이 있다. 이 밖에 꽁트집 《아름다운 사람들》과 일역시집 및 다수의 시선집이 있다.
2. 김남조 시세계
1) 초기시 - 생명
1950년대 전후 시단의 형성은 한국전쟁이 야기한 폐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김남조의 초기 시 또한 전쟁을 체험하면서 인식하게 된 가치들을 시로써 형상화하고 있다. 특히 전쟁의 전후에 겪은 가족들과 친지와 주변인의 죽음은 실존을 위한 목숨 보전의 열망과 생명의지를 새롭게 인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발표된 그의 시는 대부분 전쟁체험을 통해 가치화된 생명의 소중함, 즉 인간의 실존 문제와 생존의식을 주제로 하고 있다. 또한 그는 시쓰기를 통해 자신의 실존의지와 소망을 구체화하면서 생명의지를 확인하고자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김남조는 절대자를 향한 안타까운 호소의 형식을 통해 시를 씀으로써 내면적으로 쌓인 불안을 해소하고 감성을 정화하여 가는 과정을 실현했다고 볼 수 있다. 즉, 극한상황으로부터 구원의식과 생명보전을 위한 의지와 소망을 표출하면서 생명시학을 확립하고자 했다.
정리하면 그는 1950년 《연합신문》에 시 「성수(星宿)」 「잔상(殘像)」 등을 발표해 문단에 등단한 후 1953년 자신의 처녀 시집 『목숨』을 출판하면서 본격적으로 작품활동을 전개하면서 세 번째 시집 『나무와 바람』을 발표한 1950년대까지는 인간성에 대한 확신과 왕성한 생명력을 지닌 사랑의 정열을 서정시로 읊었다.
2) 중기시 - 사랑
김남조의 제 4시집 『정념의 기』(1960)부터 제 10시집 『빛과 고요』(1982)까지의 주된 주제는 사랑으로 집중된다. 이 기간 동안 부단히 사랑의 다양한 속성인 정념과 관능, 그리움과 기쁨, 외로움과 슬픔 등의 정서를 시쓰기에 활용했다. 그의 시에서 사랑은 인간이 생명력을 확산할 수 있는 활력소이자 인간이 세상에 존재할 수 있는 당위적 힘으로 인식되고 있다. 김남조는 사랑이라는 것을 단순히 생활태도나 한 때의 가치관으로서 느끼는 것만이 아니라, 인간의 존재 조건이자 삶 그 자체로서 지속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시쓰기로 확장하면서 하나의 체계로서 시학을 이루었다. 중기시는 사랑의 정념과 관능, 기쁨과 외로움, 갈망 등 사랑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형상화를 시도한 기간이라 할 수 있다.
3) 후기시 - 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