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

 1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1
 2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2
 3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3
 4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4
 5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5
 6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6
 7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7
 8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8
 9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9
 10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10
 11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11
 12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12
 13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13
 14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14
 15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15
 16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세계정책
- 개 요 -
1. 머리말
2. 러일전쟁 후 국제관계
3. 제1차 러일협약
1)제1차 러일협약의 배경
2)제 1차 러일협약의 내용
4.제2차 러일협약
1)제 2차 러일협약의 배경
2)제2차 러일협약의 내용
5.맺음말
1.머리말
1905.07.29 가쓰라-태프트 비밀협약
1905.09.05 포츠머스 조약
1905.11.17 을사보호조약
1907.06.15 제2차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1907.07.24 정미7조약(제3차 한일협약)
1907.07.30 제1회 러일협약
1910.07.04 제2차 러일협약
1910.08.22 한국병합
러일 전쟁 후 한국이 병합될 때 까지 의 연표이다. 러일전쟁을 종결짓는 포츠머스 조약이 1905년 에 조인된 이후, 이 포츠머스 조약과 헤이그 평화회의, 두 차례의 러일협약을 거쳐서 일본의 한국병합은 차츰차츰 진행된다. 즉, 이는 일본이 5년 사이에 열강사이에서 한국의 병합을 인정받아야 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특히 러일 전쟁 이후 체결된 두 차례의 러일협약은 일본의 한국 병합을 가능하게 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일본은 포츠머스 강화 조약 이후 을사보호조약으로 외교권을 빼앗았다. 또한 제 1차 러일협약의 최종 조인을 남겨놓은 상태에서 정미 7조약으로 한국의 내치권을 탈취했다. 그리고 제2차 러일협약이 끝난 직후 한국은 병합되었다. 물론 러일협약을 둘러싼 시기에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와의 관계도 있었지만. 가장 직접적인 이익을 둘러싸고 대립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러시아와의 관계는 중요했다. 이렇게 러일협약은 일본의 대한정책을 보호에서 병합으로 이끌었다. 즉, 한국을 병합하는데 최종적인 안전장치가 된 셈이다. 석화정, 「러일협약과 일본의 한국병합」,『역사학보』184집, 2004, p.281.
러일협약의 중요 점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국제적인 관점에서, 일본의 만주진출을 확정 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다. 러일협약은 만주에서 러시아와 일본의 이익을 분점 하는 특성을 가진다. 특히 제2차 러일협약의 경우 미국의 문호개방 정책을 좌절시킴으로써 만주에 대한 이익을 확정했다는 점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러일협약은 러일전쟁 후 국제관계의 틀이 새롭게 짜이는 과정의 측면에서 볼 수 있다.
두 번째는 한국의 병합까지 이르는 과정이라는 점이다. 만주진출이라는 국제적 관점 의 바탕에는 한국병합이 있다. 앞서 보았듯이 러일협약을 전후하여 한국의 병합은 차츰 진행된다. 이는 일본이 러일전쟁이후 한국의 병합까지 열강과의 협상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점에서 주목되는 점이다. 특히 직접적으로 국경을 맞대고 있었던 러시아와의 관계변화를 주목할 수 있다. 제2차 헤이그 평화회의 때 헤이그에 도착한 한국 대표들이 회의장 입장이 거부되고 이위종 특사의 비공식 연설이 호소력을 가질 수 없었던 국제적 배경도 러일협약을 전후한 일본과 러시아의 관계 사이에서 이해해야 한다.
이렇게 러일협약을 전후하여 일본의 만주진출과 한국병합이라는 대외정책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러일전쟁 후 일본의 대외정책 중, 두 차례의 러일 협약을 중심으로 두 협약의 배경과 조문의 분석, 그리고 그 의미를 찾아봄 으로써 일본의 조선병합, 만주 진출로 이어지는 대 동아시아 정책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러일전쟁 후 국제관계
러일전쟁의 막바지, 러시아도 일본도 더 이상 전쟁을 계속 할 수 없는 처지였다. 러시아는 혁명이라는 극도의 내부혼란을 겪고 있었으며, 그리고 일본 역시 이미 재정이 바닥난 데다 군사적으로도 여력이 없었다. 직접 전쟁에 소요된 금액만도 17억 1,600만 엔이나 되었다. (1903년도 국가 총예산이 2억 6천만엔 이었으므로 몇 년분의 총 예산에 해당한다. ) 매년 지출해야할 국채에 대한 이식만 하여도 1억1천만엔에 달하였고 그중 9천만엔은 군사공채의 이식에 충당하였다. 그 밖에도 영국과 미국에서 모집한 막대한 외채가 있었다. 일본 국민은 청일전쟁에서부터 러일전쟁에 까지 실로 막대한 군사비를 부담해 왔다.
동원한 병력도 108만명, 해군함정은 개전 당시 31만 8천 톤이었다. 그중 약 10만이 전사자, 병사자이고 17만이 부상자, 16만이 병에 걸려서 일본의 인적 자원은 거의 소진되다시피 하였다. 또한 군인의 대부분이 농민이었으므로 농촌에서의 심각한 노동력 부족을 초래하였으며 거기에 1905년의 대흉작까지 겹쳐, 민중은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도시의 중소 상공업자도 무거운 세금으로 고생하게 되었다.
(강동진, 『일본근대사』, 한길사, 1985, p.214).